1. “조롱은 관계 파탄을 전제하는 행위” 누군가를 놀리고 조롱하는 자리다. A와 B는 회사에서 승진 라이벌이다. 오늘은 사석에서 A가 조롱하듯 B에 대해서 흉을 본다. 여러분 제 이야기 잘 들어보십시오. 한 남자가 파출소로 뛰어 들어오며 다급하게 말합니다. “제가 아내를 때렸습니다. 저를 유치장에 가둬주세요!” 당황한 경찰이 물었습니다. “아내가 죽었습니까?” 그 남자가 경찰에게 화를 버럭 내며 말합니다. “죽었으면 유치장에 가둬달라고 하겠습니까? 마누라가 쫓아오니까 그렇지요!” 웃기는 이야기지요? 아 글쎄, 이 남자가 바로 B라는 작자입니다. B의 집구석이 어떤 집구석인지 아시겠지요? B의 부부싸움 해프닝을 두고 이를 조롱하는 쪽으로 A가 이야기를 살짝 과장 모드로 쏟아 놓는 장면이다. 위의 내용을 믿고 말고는 듣는 사람의 자유다. 부부싸움을 하면 늘 부인에게 몰리는 B의 평소 모습을 A가 조롱 모드의 이야기로 만들면서 이렇게 된 것이다. 조롱이란 것이 원래 그런 법이다. 사실(fact)을 기반으로 하는 것 같으면서도 이미 사실에 상당한 감정의 무늬를 입혀서 마침내 사실을 떠나 버리는 것, 그것이 조롱이다. 이 자리에 B가 있다면 심한 모욕감을 느꼈을 것
1. 인터넷 공간에서 무례하다 싶을 정도로 과격한 의사표현을 일삼는 사람인데, 실제로 만나서 얼굴 맞대고 대화하는 오프라인 공간으로 나오면, 말 한마디 제대로 못하는 경우를 더러 확인하게 된다. 어떤 조사에 따르면 인터넷에서 아주 모욕적인 비방, 험담으로 악플 댓글을 상습적으로 달아대는 사람들의 상당수가 실제 회의장이나 토론장에서는 제대로 나서서 말 한마디 못하는 경우가 적지 않다고 한다. 좀 우습지 않은가. 그러니 이런 부류의 인간들에게 악플 공격을 당한다고 절대로 자살 같은 것을 하지는 말아야 할 것이다. 인터넷 공간에서의 큰소리치기는 ‘목욕탕에서 혼자 큰소리치기’와 비슷한 심리적 기제를 가진다. 구체적 상대가 실제로 존재하지 않는다. 그래서 마음에 별 부담이 없다. 뭐라고 한들 당장 쫓아올 염려도 없다. 더러는 단순하기도 하고 더러는 비겁하기도 하다. 책임의식 같은 것은 아예 없는 족속이다. 그러니 이런 인간들이 해대는 악플에 상처받지 않도록 자기 최면을 거는 것도 중요하다. 어쨌든 디지털 사이버 공간에서는 안하무인(眼下無人)으로 활개를 치다가 막상 실제로 상대를 만나면 생생하게 주고받는 토론으로 맞서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컴퓨터 앞에서 혼자서 북 치
1 한국의 엄마들이 자식들 공부와 교육에 각별한 관심을 가지고 있다는 것은 이미 세상에 잘 알려진 일이다. 이 각별한 관심이 도에 넘쳐서 더러는 한국 교육의 약점으로 노출되기도 한다. ‘우리 사회가 우리 아이들을 어떻게 기를 것인가’에 대해서는 거대 담론, 정책적 대안 그리고 당국의 공식적 선언들이 차고 넘친다. 일찍이 국가가 만들었던 국민교육헌장, 정부가 고시하는 매 시기 교육과정 문서, 각종 교육단체나 시민단체들이 목소리 높여 외치는 교육적 선언 등이 모두 ‘우리 아이들을 어떻게 가르치고 기를 것인가’에 대한 각기 그 나름의 인식과 철학을 담고 있다. 모두가 지당한 말씀이다. 어느 하나 버릴 것이 없다. 그런데 중요한 것은 실제로 아이들을 기르는 장면에서 보여주는 구체적 언행과 방식이다. 거창하고 공식적인 교육 선언도 중요하지만, 실제로 우리의 엄마들은 아이들이 구체적으로 어떻게 자라나 주기를 바라는가. 엄마들은 자신들이 만족해하는 아이의 구체적인 모습을 어떻게 상정하고 있는가. 내 자녀가 자라며 공부하는 동안 어떤 양태의 생활 모드(Mode)를 보여주기를 바라는가. 이런 것들을 들여다보아야 한다. 이처럼 자녀 교육에 대한 엄마들의 문화적 형질을 구체적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