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고] 모든 것을 못 하는 아이는 없다
‘영재 발굴단’이라는 TV 프로그램이 있다. 전국의 ‘영재’를 찾아 그들의 능력을 소개하는 프로그램이다. 영재라면 수학이나 과학, 언어 등의 학습능력이 뛰어난 아이들을 떠올리지만, 이 프로그램에서 소개되는 영재들의 뛰어남은 학습능력에만 한정돼 있지는 않다. 차종을 정확하게 알아내는 아이가 있는가 하면, 고층빌딩에 열광하는 아이, 치어리딩에 푹 빠진 아이, 스마트폰과 떨어질 줄 모르는 아이도 있다. 그리고 이들을 자동차 영재, 초고층 빌딩 영재, 치어리딩 영재, 스마트폰 영재라고 소개한다.
‘똑똑’이 아닌 ‘특별’이 필요한 시대
30년 전만 해도 우리나라 대학 진학률은 30%를 넘지 않았다. 반면 경제성장은 빨랐다. 기업은 똑똑한 인재를 필요로 했고, 이때 똑똑함의 기준이 바로 ‘학력’이었다. 하지만 사회가 달라지면서 인재상도 달라지고 있다. 대학 진학률이 70%를 넘어섰고, 대학 졸업장이 더 이상 ‘능력’을 증명하는 기준이 되지 못하는 시대가 됐다. 획일적 기준의 똑똑함이 아니라 ‘특별함’이 필요한 시대로 변하고 있다. 그래서 자신의 특별함을 아는 것이 중요하다.
학교 성적이 뛰어난 것도 특별함이 될 수 있다. 그렇지 못해도 문제 될 것은 없다. 성적이 뛰어나도 소통에 어려움이 있는 아이가 있을 수 있고, 성적은 좋지 않아도 소통능력이 남다른 아이도 있을 수 있다. 운동으로 대성하는 아이도 있을 수 있고, 글쓰기 실력으로 빛을 발하는 아이도 있을 수 있다.
모든 것을 다 잘하는 아이가 없는 것처럼, 모든 것을 다 못하는 아이도 없다. 모든 아이는 저마다의 ‘영재 씨앗’을 갖고 있다. 그것이 겉으로 드러나지 않는 것은, 적당한 환경이 제공되지 않아 자라지 못하고 있거나, 천천히 자라는 씨앗이거나, 또는 이미 싹이 나서 자라고 있지만, 아이가 가진 씨앗의 가치를 인정하지 않아서, 혹은 알아보지 못하기 때문이다.
내가 맡은 학생들에게는 어떤 ‘씨앗’이 있을까? 씨앗을 찾는 학생들에게 교사는 무엇을 해 주어야 할까? 자신이 갖지 못한 씨앗을 찾느라, 이미 갖고 있는 좋은 씨앗을 썩히고 있는 것은 아닌지 돌아보게 해줘야 한다. 갖지 못한 씨앗을 부러워하기보다, 자신이 가진 씨앗을 사랑하고 특별하게 가꿀 줄 아는 삶을 살도록 격려해줘야 한다.
저마다의 씨앗 가꾸게 격려, 지원해야
자신의 손에 어떤 씨앗이 있는지도 충분히 살피지 못하고 어른들이 골라준 씨앗을 획일적인 방법으로 키우는 연습만 하고 자란 아이는 스스로 씨앗을 고르는 힘도, 그 씨앗을 키우는 방법도 터득하지 못한 채로 자라기 쉽다. 스스로 씨앗을 고를 줄 아는 눈을 갖게 하고 싶다면? 주도적으로 자신의 영재 씨앗을 잘 키워 탐스런 열매를 맺게 하고 싶다면? 20년 후, 30년 후가 더 빛나는 삶이 되게 하고 싶다면?
부모와 교사는 아이의 손에 담긴 모든 씨앗에게, 따뜻하고 좋은 토양이 돼줘야 한다. 적당히 물을 머금고 필요한 양분도 제공하면서 기다려주고, 바라봐주고, 품어주는 따뜻한 토양이 돼주면 그 안에서 우리 아이들의 영재 씨앗이 가장 자기다운 열매를 맺게 될 것이다.
출처: 한국교육신문 2017-01-08 (http://www.hangyo.com) [자세한 내용은 월간 새교육에 있습니다]
ⓒ 한국교육신문 www.hangyo.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
-
[교직실무] 교육공무원의 정년과 퇴직
2020-07-06
-
[학사실무] 개인정보보호와 정보보안
2020-07-06
-
[교육학 논술] 타일러, 스킬벡, 파이너, 아이즈너의 교육과정 개발모형
2020-07-06
-
[교직실무] 교원의 복지제도 ②
2020-06-05
-
[학사실무] 공문서의 이해와 작성의 실제 ②
2020-06-05
-
[기획안 작성 연습] 학교를 지원하는 교육청 사업의 기획안 작성 방안
2020-06-05
-
[교육학 논술] 자연주의 교육, 주지교과의 정당화 근거, 역방향설계, 조직 건강 측정요인
2020-06-05
-
[교직실무] 교원의 복지제도 ①
2020-05-06
-
[학사실무] 공문서의 이해와 작성의 실제 ①
2020-05-06
-
[기획안 작성 연습] 논술과 연계한 사업 기획안 작성 방안 ❷
2020-05-06
-
[교육학 논술] 객관주의와 구성주의 학습과 교수설계 ❷
2020-05-06
-
[교직실무] 교원의 인사기록 관리Ⅱ
2020-04-06
-
[장학연구] 전문적학습공동체 활성화 방안
2020-04-06
-
[기획안 작성 연습] 논술과 연계한 사업 기획안 작성 방안 ❶
2020-04-06
-
[교육학 논술] 객관주의와 구성주의 학습과 교수설계 ❶
2020-04-06
-
[교직실무] 교원의 인사기록 관리Ⅱ
2020-03-05
-
[기획안 작성 연습] 교육전문직 선발 전형 기획안 작성 기초 이해
2020-03-05
-
[교육학 논술] 표집방법과 저항이론과 상담이론 및 TQM 방안
2020-03-05
-
[교직실무] 교원의 인사기록 관리 Ⅰ
2020-02-05
-
[기획안 작성 연습] 2월 중 학사 운영 내실화 운영 방안
2020-02-05
-
[교육학 논술] 구성주의 교육, 예술적 교육과정, 토의와 정착수업, 기계문화 개선방안
2020-02-05
-
[합격사례] 학교현장에 답이 있어요
2020-02-05
-
[교직실무] 교원의 근무와 출장
2020-01-06
-
[기획안 작성 연습] 전문적학습공동체활성화를 통한 학교교육력 제고 방안
2020-01-06
-
[교육학 논술] 2020학년도 공립 초등학교 교사 임용후보자 선정 경쟁시험
2020-01-06
-
[합격사례] 배움의 기쁨을 느끼면서 공부했어요
2020-01-06
-
[교직실무] 교원의 상훈과 포상
2019-12-05
-
[기획안 작성 연습] 흥미와 적성을 찾고 학교 적응을 돕는 학업중단예방 계획
2019-12-05
-
[교육학 논술] 학교조직과 혁신학교와 차등보상의 양면성
2019-12-05
-
[합격사례] 전문직 시험 준비에서 합격까지
2019-12-05
-
[면접] 집단토의면접 연습합시다
2019-11-05
-
[교육학 논술] 학력상승과 자기결정성이론과 비고츠키이론
2019-11-05
-
[기획안 작성 연습] 인성교육 실천 방안
2019-11-05
-
[교직실무] 교육공무원의 호봉과 승급
2019-11-05
-
[면접] 잘 듣는 자가 이기는 집단토의(론)면접
2019-10-04
-
[교육학 논술] 실험설계와 역동적평가와 예술적교육과정
2019-10-04
-
[기획안 작성 연습] 교육기획서 작성 방법
2019-10-04
-
[교직실무] 교원의 자격
2019-10-04
-
[면접] 심층면접 연습 합시다
2019-09-04
-
[교육학 논술] 자율형 사립고 문제와 공교육 개혁 방안
2019-09-04
-
[기획안 작성 연습] 학생의 자율성을 키우는 자기주도성 프로젝트 활동 계획
2019-09-04
-
[교직실무] 교원의 연수
2019-09-04
-
[면접] 교육전문직의 소양과 태도를 평가하는 심층면접
2019-08-06
-
[교육학 논술] 학교 교육에서 교사의 과제
2019-08-06
-
[기획안 작성 연습] 고교학점제 현장 안착 계획
2019-08-06
-
[교직실무] 교원의 지위와 교육활동 보호
2019-08-06
-
[면접] 전국 시·도교육청 면접전형 자세히 살펴보기
2019-07-05
-
[교육학 논술] 학력상승이론과 지능이론, 하버마스와 잠재적 교육과정
2019-07-05
-
[기획안 작성 연습] 학교평가계획 ②
2019-07-05
-
[교직실무] 초빙교원의 임용
2019-07-05
-
[면접] 언어보다 강력한 비언어적 소통법
2019-06-07
-
[교육학 논술] 콜버그와 하버마스와 칼 포퍼
2019-06-07
-
[기획안 작성 연습] 학교평가계획 ①
2019-06-07
-
[교직실무] 교육공무원의 전보·전직 ②
2019-06-07
-
[교육학 논술] 성공지능과 피아제와 비고츠키
2019-05-03
-
[실무논술] 학교의 자율적 성장을 돕는 장학 방안
2019-05-03
-
[기획안 작성 연습] 교육과정 재구성, 학생중심수업, 과정중심평가의 내실화
2019-05-03
-
[교직실무] 교육공무원의 전보·전직 ①
2019-05-03
-
[교육학 논술] 방어기제, 교사편견의 귀인과 숙달목표 고양 방안
2019-04-03
-
[실무논술] 학교 교육에서 민주시민교육 활성화 방안
2019-04-03
-
[기획안 작성 연습] 교원업무정상화 실행 계획
2019-04-03
-
[교직실무] 보직교사의 임무와 역할
2019-04-03
-
[교육학 논술] 다중지능이론과 케이즈와 정보처리이론, 비고츠키이론과 협동학습
2019-03-06
-
[실무논술] 학교민주주의 실현을 위한 노력
2019-03-06
-
[기획안 작성 연습] 교육철학이 반영된 수업, 과정밀착형평가의 일체화 방안
2019-03-06
-
[교직실무] 교육공무원의 평정 ②
2019-03-06
-
[교육학 논술] 상담관계형성 및 REBT 이론
2019-02-01
-
[실무논술] 미래인재를 기르기 위한 교실혁신 방안
2019-02-01
-
[기획안 작성 연습] 자기계발시기의 학사운영 내실화 방안
2019-02-01
-
[교직실무] 교육공무원의 평정 ❶
2019-02-01
-
[교육학 논술] 다중지능의 정의적 특성 측정과 지도성 신장 방안
2019-01-02
-
[실무 논술] 미래 사회를 대비한 진로교육 시행 방안
2019-01-02
-
[기획안 작성 연습] 창의·융합적 독서·토론·글쓰기 교육
2019-01-02
-
[교직실무] 계약제 교원의 임용
2019-01-02
-
[교육학 논술] 블룸(B.S.Bloom)의 완전학습이론에 근거한 학력저하 해소방안
2018-12-03
-
[실무논술] 자유학기제 개선과 지원 방안
2018-12-03
-
[기획안 작성 연습] 회복적 생활교육을 통해 성장하는 행복한 학교
2018-12-03
-
[교직실무] 교원의 징계 ❷
2018-12-03
-
[교육학 논술] 비행이론과 REBT 상담이론
2018-11-01
-
[실무논술] 독서교육의 중요성과 지원방안
2018-11-01
-
[기획안 작성 연습] 자율과 책임의 학교 민주주의 실현
2018-11-01
-
[교직실무] 교원의 징계 ❶
2018-11-01
-
[교육학 논술] 우리 교육에 영향을 준 교육철학
2018-10-01
-
[실무논술] 아동학대의 원인과 해결 방안❷
2018-10-01
-
[기획안 작성 연습] 건강한 교육공동체 활성화를 통한 학업중단예방 계획
2018-10-01
-
[교직실무] 교원의 휴가 업무처리 ❷
2018-10-01
-
[교육학 논술] 가네와 에듀테인먼트와 웹퀘스트
2018-09-03
-
[실무논술] 아동학대의 원인과 해결 방안❶
2018-09-03
-
[기획안 작성 연습] 교육 본질에 전념하기 위한 교원업무정상화 추진 계획
2018-09-03
-
[교직실무] 교원의 휴가 업무처리❶
2018-09-03
-
[교육학 논술] 페스탈로치와 듀이 등을 통해 본 아동중심 교육사상
2018-08-01
-
[실무논술] 체계적인 학교 인성교육의 실천 및 지원 방안
2018-08-01
-
[기획안 작성 연습] 미래 사회를 대비하는 학교 자율장학 운영 내실화
2018-08-01
-
[교직실무] 교원의 휴직 업무처리(Ⅱ)
2018-08-01
-
[교육학 논술] 인성교육으로 바라본 청소년 문제의 원인과 해결방안
2018-07-02
-
[실무 논술] 미래사회를 대비하기 위한 수업혁신 방안
2018-07-02
-
[기획안 작성 연습] 학교 자율장학 내실화를 통한 앎과 삶이 일치하는 행복한 학교 만들기
2018-07-02
-
[교직실무] 교원의 휴직 업무처리(Ⅰ)
2018-07-02
-
[교육학 논술] 인지양식과 수행목표와 가네와 적성처치
2018-06-01
-
[실무논술] 학교자율화를 통한 학교 교육력 제고 방안
2018-06-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