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3.29 (금)

  • 흐림동두천 1.0℃
  • 흐림강릉 1.3℃
  • 서울 3.2℃
  • 대전 3.3℃
  • 대구 6.8℃
  • 울산 6.6℃
  • 광주 8.3℃
  • 부산 7.7℃
  • 흐림고창 6.7℃
  • 흐림제주 10.7℃
  • 흐림강화 2.2℃
  • 흐림보은 3.2℃
  • 흐림금산 4.4℃
  • 흐림강진군 8.7℃
  • 흐림경주시 6.7℃
  • 흐림거제 8.0℃
기상청 제공
상세검색

라이프

비관의 역사 속 희망 발견하기

흔히 장편소설에서 가장 중요한 건 ‘첫 문장’이라고 말한다. 하나의 우주와도 같은 장편소설의 세계관을 빚어나가는 첫걸음을 어떻게 떼느냐에 따라 작품 전체의 맛이 달라진다.

 

위대한 소설들의 유명한 도입부 몇 가지를 기억한다. 예를 들어 톨스토이 ‘안나 카레니나’는 이런 문장으로 시작한다. “행복한 가정의 모습은 모두 비슷하지만, 불행한 가정의 모습은 제각각이다.”

 

스콧 피츠제럴드의 ‘위대한 개츠비’ 도입부도 기억할 만하다. “내가 지금보다 어리고 약하던 시절 아버지가 해주신 충고를 기억한다. 누구를 비판하고 싶어질 땐, 세상 사람들이 다 너처럼 좋은 조건을 타고난 건 아니라는 점을 명심하라고.”

 

“역사가 우리를 망쳐 놨지만 그래도 상관없다”

최근 들어 이와 같은 명작에 필적할 만한 ‘첫 문장’을 읽었다. 놀랍게도 2017년에 나온 작품이다. 한국계 미국 작가 이민진의 장편소설 ‘파친코’는 다음과 같은 첫 문장으로 시작한다.

 

“역사가 우리를 망쳐 놨지만 그래도 상관없다(History has failed us, but no matter).”

 

이 작품은 일제강점기 부산 영도에서 태어나 일본 오사카로 건너간 조선 여자 ‘순자’의 이야기를 중심으로 돌아간다. 이민진 작가는 박경리의 ‘토지’에 맞먹는 집중력으로 역사의 질곡 속에서 그저 살아내기 위해 고군분투했던 조선인들의 삶을 손에 잡힐 듯이 생생하게 그려낸다.

 

작품 속에서 너무 가난했던 조선 사람들은 굶주림을 피해 일본으로 갔다. 하지만 그곳에서도 빈민촌 생활을 벗어날 수 없었다. 돼지를 포함한 가축들과 한 공간에서 살아야 하는 게 이들의 숙명이었다. 조선인 아이들은 학교에 가면 일본 아이들에게 차별과 따돌림을 당했다.

 

서울에서 태어났지만 일곱 살 나이에 미국 뉴욕으로 이민을 간 작가가 일제강점기 조선과 세계대전 종전 시점 무렵의 일본을 어떻게 이렇게 생생하게 그려냈는지 놀라울 따름이다. 자식을 생각하는 엄마의 마음, 굶주림을 면하기 위해서라면 무엇이든 해야 했던 시대의 아픔이 고스란히 전해져 심금을 울린다.

 

소설의 백미는 이 아픔과 처절한 가난 속에서도 끝끝내 피어나는 삶의 희망을 작가가 결코 놓치지 않고 있다는 점이다. ‘가난하다고 해서 사랑을 모르겠느냐’던 신경림 시인의 노래처럼 순자의 가족 역시 도저히 희망을 찾을 수 없는 상황 속에서도 서로를 부둥켜 안는다.

 

이 소설은 애플이 넷플릭스에 대항하기 위해 시작하는 동영상 스트리밍 서비스 ‘TV플러스’에 의해 8부작 드라마로 제작될 예정이다. 배경이 조선과 일본임은 물론 대부분의 배우들이 조선인과 일본인인 이 작품을 애플이 어떻게 그려낼지 벌써부터 기대가 된다.

 

“역사가 우리를 망쳐 놨고, 우리는 상관이 있다”

시간이 흘러 한국과 일본 모두 가난에서 탈출했다. 대충 벗어난 수준이 아니라 앞서가고 있다. 흔히 유럽이나 미국보다 못하지 않느냐는 반문이 돌아오지만, 한국만큼 한국인들의 삶에 최적화된 나라는 단언컨대 없다. 완벽하지는 않아 여러 가지 문제를 해결해 나가야겠지만 이 정도면 훌륭하다는 걸 잠깐 여행만 나가봐도 깨닫게 된다.

 

문제는 이전 세대들이 그토록 원하던 풍요를 손에 넣었으면서도 우리의 내면이 여전히, 아니 어쩌면 이전보다 더 어둡다는 사실이다. ‘빅 픽처’를 쓴 미국 작가 더글라스 케네디가 “인간은 단점을 스스로 만들어내는 존재”라고 말한 그대로다.

 

현 시점에서 한국인들이 느끼는 불만이나 불행은 매년 ‘문학사상’이 선정해 발표하는 이상문학상 작품집을 읽어보면 잘 알 수 있다. 언제부터인가 이상문학상 작품집, 나아가 다수의 한국 소설들에는 삶의 희망보다는 절망이, 잘 될 거라는 낙관보다는 어차피 또 실패할 거라는 비관론이 대세다.

 

올해 이상문학상 작품집에 수록된 심사평을 보면 심지어 심사위원들이 보기에도 “전반적으로 너무 침울하다”는 코멘트가 눈에 띈다. 한국 작가들이 이렇게까지 내면의 어둠에 천착하는 데에는 무슨 이유가 있는 걸까. 한국 사회에서의 삶이 유달리 침울해 할 만한 것이어서? 아니면 한국 작가들이 대체로 너무 비관적이어서? 지나치게 섬세해서?

 

모르긴 해도 이민진 작가가 지적한 대로 “역사가 우릴 망쳐놨다”는 문제의식이 큰 부분을 차지하지 않을까 싶다. 국내 역사학자 다수의 견해를 고려했을 때 많은 숫자의 한국 작가들에게 대한민국은 ‘태어나선 안 됐을 나라’일 확률이 높기 때문이다. 시작 단계부터 잘못된 씨앗을 뿌렸으니 그 열매에 대해서도 좋은 말을 해줄 수 없다는 게 다수 한국 작가들의 생각이 아닐까 추측해 본다.

 

하지만, 역사가 우리를 얼마나 망쳐놨건 일제 강점기만큼 절망적인 건 아니다. 그렇다면 우리는 지금의 이 험난한 현실 속에서도 얼마든지 삶의 의미를 길어 올려 그 안에서 희망을 발견할 수 있는 게 아닐까. 그런 작품이 지금보다는 조금 더 많아져도 되는 거 아닐까.

 

어쩌면 너무 늦게 나온 건지도 모르는 소설 ‘파친코’를 읽은 뒤 문득 이런 생각을 해본다. 역사를 우리를 망쳐놨지만 그래도 상관없다고 말하는 작가들, 선생님들, 학생들이 우리에겐 더 많이 필요하다고.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