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3.28 (목)

  • 흐림동두천 1.0℃
  • 흐림강릉 1.3℃
  • 서울 3.2℃
  • 대전 3.3℃
  • 대구 6.8℃
  • 울산 6.6℃
  • 광주 8.3℃
  • 부산 7.7℃
  • 흐림고창 6.7℃
  • 흐림제주 10.7℃
  • 흐림강화 2.2℃
  • 흐림보은 3.2℃
  • 흐림금산 4.4℃
  • 흐림강진군 8.7℃
  • 흐림경주시 6.7℃
  • 흐림거제 8.0℃
기상청 제공
상세검색

라이프

中庸, 성숙한 인간으로 도약하게 하는 철학서

영화 ‘역린’의 마지막 장면에 등장하면서 유명세를 탄 중용 23장의 구절은 ‘불휘 기픈 (용비어천가 2장)와 맥을 같이 한다. 아무리 큰일이라도 그 시작은 작고 사소하다. 큰 것은 작은 것의 합이다. 매사 작은 일도 무시하지 않고 최선을 다한다면 큰 인연을 얻게 되고 큰 일을 해낼 수 있을 것이다.

‘작은 일도 무시하지 않고 최선을 다해야 한다. 최선을 다하면 정성스럽게 된다. 정성스럽게 되면 겉에 배어 나오고, 겉에 배어 나오면 겉으로 드러나고, 겉으로 드러나면 이내 밝아지고, 밝아지면 남을 감동시키고, 남을 감동시키면 이내 변하게 되고, 변하면 생육 된다. 그러니 오직 세상에서 지극히 정성을 다하는 사람만이 나와 세상을 변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其次 致曲 曲能有誠 誠則形 形則著 著則明 明則動 動則變 變則化 唯天下至誠 爲能化)

중용 23장에 나오는 명문이다. 이 문장이 유명세를 타기 시작한 것은 영화 ‘역린’의 마지막 장면 때문이다. 정조가 말 달리며 독백을 한 이 문장은 우리의 잘못됨을 반성하게 한다.

지극히 정성을 다하는 사람만이 세상을 변하게 할 수 있다
마지막 문장 ‘천하를 변화(爲能化)’ 시킬 수 있는 유일한 것은 무엇일까? 그것은 다름 아닌 이 문장의 출발점인 ‘곡(曲)’에 있다. 23장은 곡(曲)→성(誠)→형(形)→저(著)→명(明)→동(動)→변(變)→화(化)의 관계를 갖고 있다. 치(致)는 ‘미루어 지극히 함’이요, 곡(曲)은 ‘한쪽’이다. 형(形)은 ‘속에 쌓여 밖에 나타남’, 저(著)는 ‘또 더 드러남’, 명(明)은 ‘또 광휘를 발산(發散)]함’, 동(動)은 ‘성실함으로 남을 감동시킴’, 변(變)은 ‘남이 나를 따라 변하는 것’, 화(化)는 ‘그 소이연(所以然)을 모름이 있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치곡(致曲)은 아무리 사소한 것이라도 지극히 정성을 다하는 것 즉, 성(誠)이 된다. 성(誠)은 우주 만물이 운행되는 원리이다. 즉, 하늘(天), 땅(地), 사람(人) 3재(三才)에 이르기까지 하나로 꿰뚫음을 뜻한다. 그래서 ‘성은 하늘의 도이고, 성이 되려는 것은 사람의 도(是故誠者天之道也,思誠者人之道也)’라고 말한다.

큰 것은 작은 것의 모임이다. 삶은 순간의 합이며 부분의 합 이상이다. 큰 것의 출발인 사소한 것, 조그마한 것을 게을리하면 큰 재앙을 갖게 된다. 대인관계, 사업, 정치 등 모든 곳에서 항상 처음을 사소히 하지 말고 매 순간순간을 소중히 하면 큰 인연을 얻게 되고 큰일을 해낼 수 있다. 개울물이 모여 시냇물이 되고, 시냇물이 모여 강이 되고, 강물이 바다로 흘러가듯이 출발에는 뿌리가 있다. 뿌리가 깊지 않으면 꽃과 열매가 하찮은 것이 된다.
배너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