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4.19 (금)

  • 흐림동두천 1.0℃
  • 흐림강릉 1.3℃
  • 서울 3.2℃
  • 대전 3.3℃
  • 대구 6.8℃
  • 울산 6.6℃
  • 광주 8.3℃
  • 부산 7.7℃
  • 흐림고창 6.7℃
  • 흐림제주 10.7℃
  • 흐림강화 2.2℃
  • 흐림보은 3.2℃
  • 흐림금산 4.4℃
  • 흐림강진군 8.7℃
  • 흐림경주시 6.7℃
  • 흐림거제 8.0℃
기상청 제공
상세검색

전문직대비

[교육학 논술] 자기결정성과 구성주의

다음은 우리나라 교육문제에 대한 논의이다. 제시문을 참고하여, (1) 기대가치이론의 관점에서 우리나라 학생들의 학습동기 부족의 원인과 대책을 논하고, (2) 자기결정성이론의 관점에서 우리나라 학생들의 학습동기 부족의 원인과 대책을 논하시오. (3) ㉠과 같은 이유를 피아제(Piaget)의 관점에서 분석하고, 바람직한 지도방안을 논하시오. (4) ㉠과 같은 이유를 비고츠키(Vygotsky)의 근접발달영역의 관점에서 분석하고, 그에 대한 해결방안을 논하시오.【총 20점】

[제시문]
# 우리나라는 국제학업성취도 평가(PISA) 첫 주기인 2000년부터 참여해 읽기, 수학, 과학 분야에서 줄곧 상위 10위 이내에 자리해 왔다. 피사(PISA)학력 비교에서 상위권을 차지한 우리나라의 교육을 부실하다고 말할 수 없을지도 모른다. 그러나 피사 보고서를 자세히 읽어보면 우리에게 꼭 좋은 평가라고만 말할 수 없는 부분이 있다. 피사 보고서에서는 학생들의 학업에 대한 태도를 바탕으로 유형화를 하고 있는데, 하나는 성적도 좋고 공부에 대한 흥미나 협동능력도 좋은 유형이 있는데 핀란드가 그 사례라 할 수 있다. 또, 학생들이 학업에 흥미를 보이고 협동능력도 좋은데 성적이 좋지 않은 사례가 있는데, 독일과 같은 나라가 그렇다고 한다. 반면 성적은 좋은데 학업에 대한 흥미가 낮은 경우가 우리나라와 같은 경우다. 우리나라 학생은 재미없는 공부를 억지로 하고 있는 셈이다.

# 우리나라의 많은 학생들은 공부에 대한 자신감이 낮고, 공부의 필요성을 느끼지 못한다고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학력이 중요하다는 생각 때문에 학교와 학교교육과정에 충실해야 하는 부담을 가지고 있다. 학교에서는 교사의 지시와 통제에 따라 수동적으로 수업을 받고 시험을 보기 때문에 자기주도적 학습능력이 부족한 편이다. 또, 시험 성적이 낮기 때문에 자신이 열등하다고 생각하는 경향이 있다. 또, 낮은 성적과 상대평가로 인해 대부분의 학생들은 교사나 부모님으로부터 격려와 칭찬을 받지 못할 수 있다. 이러한 학교풍토 속에서 자란 아이들은 성인이 되어서도 자기결정성이 떨어지게 된다.

# 이러한 교육문제 해결을 위한 단서를 구성주의적 학습이론이 제시해 주고 있다. 구성주의에서 개인이 지니고 있는 지식은 그가 삶을 사는 동안에 개별적으로 경험한 것이며 또한 구성의 산물인 것이다. 각 개인이 구성하는 현실과 지식은 특정한 사회공동체 속에서 타인들과 끊임없이 상호 작용하며 살아가는 과정에서 형성된 산물이라는 것이다. 구성주의에서는 학습자가 학습의 주체가 된다. 따라서 ㉠학습자가 이미 알고 있는 내용은 지루해하므로 가르치지 않는 것이 좋다. 소수의 예외도 있지만 대부분의 아이들은 단순 암기나 단순 연산 반복을 싫어한다. 이미 알고 있는 내용을 반복해서 제시하므로 지겨워하는 것이다. 반대로 너무 어려운 내용은 학습자가 아직 배울 준비가 되어 있지 않거나 배울 수 없는 내용이므로 역시 가르치지 않는 것이 좋다.


[자세한 내용은 월간 새교육에 있습니다]

배너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