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3.29 (금)

  • 흐림동두천 1.0℃
  • 흐림강릉 1.3℃
  • 서울 3.2℃
  • 대전 3.3℃
  • 대구 6.8℃
  • 울산 6.6℃
  • 광주 8.3℃
  • 부산 7.7℃
  • 흐림고창 6.7℃
  • 흐림제주 10.7℃
  • 흐림강화 2.2℃
  • 흐림보은 3.2℃
  • 흐림금산 4.4℃
  • 흐림강진군 8.7℃
  • 흐림경주시 6.7℃
  • 흐림거제 8.0℃
기상청 제공
상세검색

라이프

‘밥상머리교육’을 위한 필요조건

‘밥상머리교육’을 시대에 맞는 개념으로 새롭게 구축해야 한다. 가족들이 모두 밥상머리에 둘러앉을 시간조차 없는 것이 요즘의 우리 살아가는 모습이 아닌가. 대화로 시작한 것이 일방적 훈계로 끝나는 것이 우리들 부모 자식 간의 대화 모습이다. 밥상머리에 대화가 사라진다. 어쩌면 좋단 말인가. 우리의 ‘밥상머리교육’도 과감하게 리모델링되어야 한다.


1.
이스라엘의 창의성 교육을 살펴보러 간 적이 있었다. 이스라엘이 자랑하는 창의성 교육, 그것의 꽃이라 할 수 있는 영재교육 기관을 네 군데나 방문하여 이모저모를 살펴보았다. 내가 확인한 것은 그들의 영재교육이 호들갑스럽지 않다는 점이었다. 그들만의 어떤 특징을 요란하게 내세우지 않았다. 얼른 보아서는 일반 교육과 큰 차이를 가지지 못한다는 점, 그것이 특징이라면 특징이었다. 화끈한 특징을 찾아보려는 나에게는 좀 밋밋한 느낌이었다. 이스라엘 영재 교육이 창의의 싹을 잘 피워내는 데에 있다는데, 그것의 명명백백한 근거를 찾아보려고 했던 것이 나의 의도이었는데, 그것이 겉으로는 잘 보이지 않았다.
오히려 아랍의 적국과 긴박하게 대치하고 있는 그들의 안보교육이 훨씬 더 실감나게 들어왔다. 모든 고등학생들은 누구나 졸업과 동시에 군대에 바로 가야하기 때문에 고등학교 현장에서 입시교육은 없다는 것, 그래서 학교나 학생에게 당장의 입시교육 스트레스는 없다는 이야기 따위가 대표적이었다. 우리의 학교 현장에 ‘보이지 않는 손’처럼 작동하는 ‘입시교육의 망령’이 없다는 것은 우리로서는 간과할 수 없는 매우 중요한 교육적 토양이라 할 수 있다. 그렇다고 그런 안보적 긴박감 때문에 창의가 생성되는 것이라고 논리를 펴는 것은 무리이었다. 그걸 창의성 교육의 핵심이라 할 수는 없지 않은가. 창의성 교육을 위해서 모든 고등학생들이 졸업과 동시에 군대를 가는 것은 아니기 때문이다. 내 눈으로 보고자 하는 창의교육의 실상이 눈에 쉽게 들어오지 않았다. 좀 답답했다.
여행 일정 중에 예루살렘 히브리 대학의 교수들을 만났다. 이스라엘의 창의성은 어떻게 길러지는가. 또 그것을 바탕으로 하는 세계적 영재의 배출이 도대체 어디에서 기인하는지를 직접 물어 보기로 하였다, 내가 만났던 두 사람의 교수는 각각 교육학과 인류학을 전공하는 사람들이었다. 교육학 전공 교수는 세계적 영재 배출에 초점을 맞춘, 특별히 기획된 교육을 이스라엘이 하고 있는지, 자기 자신도 잘 모르겠다는 말로 나의 기대를 저버리는 답을 해 왔다.
인류학 전공 교수는 유대 사람들에게서 영재 배출이 많은 이유를 추궁하듯 묻는 우리 일행에게 한참 고민하는 표정을 짓더니 이렇게 대답한다. 유대 민족이 지난 2천년 동안 나라를 잃고, 세계 각지에 흩어져서, 이른바 디아스포라(Diaspora) 이산(離散)의 민족이 되어 고통과 압박을 견디어 내는 동안, 그 각박한 생태에 적응하며 살아남기 위해서, 적극적으로 살다보니 창의의 삶과 문화를 익히게 된 것이 아니겠는가. 그는 이렇듯 우리 일행에게 되묻는 방식으로 대답을 한다. 그렇다면 디아스포라 이산의 아픔을 겪은 다른 수많은 민족들에게서는 왜 창의와 영재의 효과를 발견할 수 없단 말인가. 듣기에 따라서는 참으로 막연한 답변이었다.

2.
이스라엘 일정 후반기 쯤, ‘예루살렘 한국문화원’의 조형호 원장의 각별한 노력으로 우리는 이스라엘의 유대교 신학대학 한 군데를 찾아 볼 수 있었다. 이 신학대학은 유대교 성직자(랍비, Rabbi)를 양성하는 곳이다. 유대교인이 아닌 이교도들(이슬람은 물론이고 기독교인들까지도)은 방문조차 할 수 없는 곳이라고 한다. 자세한 안내를 대학 당국으로부터 받을 수 있었다. 이 신학대학의 도서관을 방문했을 때 나는 매우 낯설고 혼란스러운 장면을 목도했다. 그것은 충격이라 해도 과언이 아니었다.
도서관은 두 개의 얼굴을 하고 있었다. 하나는 우리 모두가 알고 있듯이 정숙하고 조용한 도서관의 모습이다. 이런 모습의 도서관을 지나자 매우 소란스럽게 격론을 벌이고 있는 낯선 도서관의 모습이 나타났다. 일반 열람실 비슷한 곳이었는데, 학생들이 모둠을 이루어서 모둠마다 무언가 토론에 열중하고 있는 장면이었다. 토론 테이블에는 책들이 쌓여 있었다. 그런데 그 토론이 너무나 격정을 토로하는 것이어서 나는 저러다가 금방 몸싸움으로 번지면 어떻게 하나, 하는 걱정에 빠지지 않을 수 없었다. 주먹을 불끈 쥐고 흔들면서 상대를 공박하는 것은 당연하고, 목에 핏대를 세우고 눈을 부릅뜨면서 언성을 높인다. 침이 튀는 것은 피할 수 없다. 그들 곁을 가까이 지나는 동안 그들이 나에게도 무언가 격한 어조로 공박을 해 올 것 같았다. 그만큼 토론은 격정적인 몰입을 보여 주었다. 안내하는 대학 당국자에게 물어 보았다. 저렇게 토론을 하면 감정이 격하여 서로 사이가 불편하게 되지 않는지 물어 보았다. 일종의 교육 훈련 관습으로 받아들이기 때문에, 토론 자체를 일종의 역할놀이 분위기로 인식하기 때문에, 문제될 것이 없다고 한다.
그러고 보니 이틀 전 예루살렘 근교에 있는 어떤 영재고등학교를 방문했을 때의 일이 생각난다. 마침 한국의 한 여고생이 이 영재학교에 유학을 와 있었다. 교장선생은 우리 일행과 환담하는 자리에 이 한국 유학생 소녀를 특별히 불러서 자리를 함께 하도록 해 주었다. 나는 이 학생에게 학교생활에서 제일 견디기 어려운 점이 무엇인지를 말해 달라고 했다. 그랬더니 그녀는 바로 토론학습이라고 한다. 토론 자체는 한국에서도 어느 정도 훈련하였기 때문에 문제될 것이 없지만, ‘토론 문화’가 낯설었다고 했다. 수업 중에 선생님에게도 거침없이 공격적인 토론을 시도한다는 것이다. 자기의 기준으로는 선생님에게 저렇게 해도 되나 할 정도의 논박을 한다는 것이다. 그런데 그걸 받아들이는 선생님도 조금의 감정적 동요를 안 보이시니 그 또한 너무도 신기하다는 것이다. 물론 토론이 끝나는 순간 평상의 분위기로 돌아온다. 마치 토론 장면에 들어가는 순간 학생이나 선생님이나 연기를 한다고나 해야 할까. 아무튼 그런 분위기가 된다는 것이다. 창의를 만들어내는 교육의 토양 한 자리를 어렴풋이 짐작할 만했다.

3.
이스라엘 전통 유대 교육의 상징 브랜드처럼 운위되는 것으로 ‘밥상머리교육’이란 것이 있다.
[자세한 내용은 월간 새교육에 있습니다]
배너

관련기사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