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3.28 (목)

  • 흐림동두천 1.0℃
  • 흐림강릉 1.3℃
  • 서울 3.2℃
  • 대전 3.3℃
  • 대구 6.8℃
  • 울산 6.6℃
  • 광주 8.3℃
  • 부산 7.7℃
  • 흐림고창 6.7℃
  • 흐림제주 10.7℃
  • 흐림강화 2.2℃
  • 흐림보은 3.2℃
  • 흐림금산 4.4℃
  • 흐림강진군 8.7℃
  • 흐림경주시 6.7℃
  • 흐림거제 8.0℃
기상청 제공
상세검색

수업·연구

수업 공개, 무엇을 보여줄까

교원능력개발평가(이하 교원평가) 시행과 관련하여 학교마다 학부모 공개 수업을 한다. 평가 시기는 시ㆍ도 교육청에 따라 다르지만, 대개 9월 첫 주부터 11월 넷째 주 사이에 진행될 예정이니 이 시기에 공개 수업도 진행된다. 수업 공개는 교원능력개발 평가와 연계해 실시되는 것으로 교사들은 거부감을 느끼기도 한다. 그러나 수업 공개는 학부모들에게 교육현장을 보여줘 공교육에 대한 신뢰감을 주기 위한 것이다. 실제로 학교에서 자녀가 어떻게 공부하는지 궁금해 하는 학부모들이 많다. 그뿐만 아니라 수업 공개는 과거부터 학교 현장에서 있었던 모습이다. 교사로서 관리자나 동료 교사에게 평가 및 조언을 받는 것은 자연스러운 장학 업무였다. 따라서 이 기회에 학부모들에게는 자녀의 학교생활을 볼 수 있게 하고, 교사들은 전문성을 높이는 기회가 되게 하면 된다.

수업 공개에 대해 교사들은 무엇을 보여줄까 고민을 한다. 여러 가지가 있지만, 가장 먼저 보여줘야 할 것은 교사의 뜨거운 열정이다. 수업 기술은 차후 문제다. 열정이 있다면 좋은 수업은 자연적으로 만들어진다. 흔히 열정을 ‘다리미의 원리’에 비유한다. 뜨겁지 않은 다리미로는 주름진 옷을 펼 수 없다. 마찬가지로 선생님의 뜨거운 열정이 학생들 마음속에 미세하게 있는 근심까지 펴준다. 교사 열정은 교실에서 반드시 좋은 수업의 꽃봉오리로 핀다.

그리고 열정은 학생을 사랑하는 마음으로 이어져야 한다. 학생은 가르치고 통제하는 대상이 아니다. 나와 함께 배우고 성장하는 존재이다. 존경과 배려의 학습이 진행되어야 한다. 그러면 학생들은 수업 중 적극적인 참여를 하고, 배움을 통해서 성공감을 느끼게 된다. 따듯한 분위기의 수업을 할 때 학생은 즐거움과 보람을 맛보게 된다. 학생들이 수업 자체의 활동에서 뭔가 해냈다는 성취감과 자신에 대한 자존감, 더 나아가 공동체의 삶을 체득할 수 있도록 돌보아야 한다.



배움이 일어나는 수업에 대해 끊임없이 고민해야 하는 것도 교사의 몫이다. 일방적으로 가르치는 수업은 시대적 조류에도 맞지 않는다. 학생 개개인의 정의적 능력을 고려하는 배움중심수업을 해야 한다. ‘수업은 물음표(?)에서 느낌표(!)로 가는 상호작용’이라고 정의하는 사람이 있다. 이는 학생이 배워야 하는 수업을 강조한 표현이다. 학생이 수업 활동에 주체적으로 참여하고, 스스로 배우게 도와야 한다. 학생들은 방관자가 아닌 적극적인 참여자로 유도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수업은 선생님과 학생의 상호작용으로 발문을 하고 응답을 이끌어내도록 한다. 학생의 삶과 경험에 근거한 발문은 수업의 활력을 주고 학습 효과도 극대화된다.

학생이 학습 자료와 상호작용할 수 있는 분위기를 만들고, 다시 학생과 학생의 소집단 토의를 권장한다. 이러한 과정을 거치면 학생들은 가슴에 느낌표(!)를 발견한다. 이제 교사에게 수업은 말 그대로 ‘업’이다. 평생 내려놓을 수 없는 문제다. 내가 노력해서 이끌고 가야 한다. 그렇다면 어떻게 하면 수업을 잘할 것인가에 대해 고뇌해야 한다. 업은 반복되기 때문에 자칫하면 태만해 질 수 있다. 수업 이론에 대해 깊이 공부하고 연구하는 자세가 필요하다. 프로 스포츠 선수들도 자신의 역량을 점검할 때는 비디오를 이용한다. 교사도 마찬가지다. 자신의 수업을 녹화해서 분석하며, 잘못된 점을 고쳐가는 노력이 계속될 때 수업 능력이 향상된다. 수시로 학생들에게 자신의 수업에서 고쳐야 할 점이나 바람직한 점을 써내라고 하는 것도 좋다. 그것을 토대로 수업 방법을 고쳐간다면 훌륭한 교사로 거듭날 수 있다. 기타 수업 관련 연수, 강연, 워크숍 등의 연수에 참여하는 것도 교사가 마땅히 해야 할 일이다.

교사들 중에는 지나치게 수업 공개를 잘하려고 준비를 많이 한다. 좋은 자세다. 그러나 그것이 공개 순간 특별한(?) 결과를 얻기 위한 것이라면 바람직하지 않다. 수업 공개는 남을 위한 것이 아니라 자신과 학생들을 위한 것이다. 수업을 준비하는 과정에서 자신의 수업을 개선할 수 있는 점을 먼저 찾으려고 해야 한다. 그리고 학생들이 어떻게 수업에 참여하고 있는지도 발견하려고 노력해야 한다. 수업 공개는 우리 모두 더 나은 학교생활을 하기 위해서 마련된 것이다. 교육력을 높이는 행사다. 일회성 행사로 받아들이지 말고, 학생과 교사가 성장 동력을 찾는 축제로 만들어야 한다. 물론 누구나 자신의 모든 것을 보여주는 것은 부담이 될 수 있다. 특히 결점이 드러날 때는 얼굴색이 달라지기도 한다. 그러나 진정한 전문가는 남에게 부끄러움을 털어놓고 조언을 기다린다. 교사가 교실에서 갇혀 학생들에게 전권을 휘두르면 그것이 더 부끄러운 것이다. 자발적으로 동료 교사나 교장, 교감에게 조언을 구하고 수업에 대한 조언을 구한다면 부끄럽지 않은 교사가 된다. 학부모에게도 자신의 수업을 공개하면 그 교사는 이미 수업을 잘할 수 있는 길에 성큼 다가가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