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5.18 (토)

  • 맑음동두천 17.8℃
  • 맑음강릉 23.8℃
  • 맑음서울 18.7℃
  • 맑음대전 17.0℃
  • 맑음대구 17.5℃
  • 맑음울산 19.5℃
  • 맑음광주 18.5℃
  • 맑음부산 19.9℃
  • 맑음고창 ℃
  • 구름조금제주 20.0℃
  • 맑음강화 18.6℃
  • 맑음보은 14.6℃
  • 맑음금산 14.5℃
  • 맑음강진군 17.8℃
  • 맑음경주시 16.7℃
  • 맑음거제 17.9℃
기상청 제공
상세검색

e-리포트(미분류)

<나의 미국체험> 지역사회와 교사교육의 연계


3월말부터 4월초까지 닷새를 아침 8시 30분부터 저녁 6시까지 꼬박 여는 한 교육협회(AMS 2005 NATIONAL CONFERENCE, March 31 – April 3, 2005. Chicago, IL)모임에 다녀왔다.

이 협회는 한 교육자의 철학과 교수방법에 의거하여 교육의 전분야에 걸쳐서 응용하기 때문에 다루는 내용이 방대하다. 주로 교육의 실제를 다루고 있어서 교수나 연구자의 참여는 별로 없고 교장, 원장 및 교사 그리고 교사교육 지도자가 많다. 따라서 교육의 실제적 활용에 참고의 여지가 많다.

유치원부터 초등학교 6학년까지 아동을 대상으로 하는 언어, 과학, 음악, 역사, 수학, 사회, 문화, 일상생활 교육 등등의 내용과 교사의 리더십, 사립이나 공립의 원장들의 모임과 네트워킹, 정보교환, 연합회가 회원에게 주는 공헌사항, 중등교육까지 연결시키는 교육과정 사례 연구, 학교의 정원가꾸기, 요리활동을 교육에 연결하기, 경제 등등 다양한 session이 준비되어 있었다.

강사도 대규모 강의나 철학은 교수들이 맡고 세세분야의 경우는 해당 내용을 실시해본 교사들이 사례를 발표하는 것이 많았으며, 이러한 강의에 교사들의 참여율도 높았다. 일리노이주에 살던 사람들의 자연적 생활의 역사를 다루는 비영리단체에서도 나와서 강의를 맡았다. 이 단체는 주로 초등학교 1학년에서 3학년에 이르는 학생들에게 이 지역 토착민의 전통사회와 문화를 알려주는 것을 목적으로 설립되어 교육자료와 교육과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여러 session 중에 내가 특별히 눈여겨 본 것은 현직 초등학교 교사가 ‘심해바다’를 주제로 한 내용이다. 심해에 대한 사진들과 설명들이 매우 구체적이었고 사진자료는 본인이 직접 잠수함을 타고 과학자들과 심해로 내려 가서 심해의 생물을 촬영한 것이며, 가져온 자료는 로봇의 팔로 직접 잘라온 뜨거운 열이 솟아나는 열기둥을 비롯해 직접 채취해온 자료, 학생들과 실험한 자료들이었다.

미국은 교사들에게 대학의 교수 및 전문가들, 해양연구소의 연구원들, 민간연구소 연구원들과 함께 직접 심해를 연구하고 직접체험하고 연구한 내용을 학생들에게 전달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프로그램을 실시하고 있는 곳은 National Science Foundation, The Teacher at Sea Program, Scientific Work Experience Programs for Teachers(SWEPT), Maryland Educators' Summer Research Program(MESRP), Earthwatch 등이다. 이러한 단체들은 교사들에게 소정의 연구비를 주고 연구의 결과물로 항해일지와 학생을 대상으로 한 교육적 적용에 관한 보고서를 제출하도록 요구한다. 교사의 설명은 구체적이며 생생하였고 초등학생들은 심해에 관한 대단한 호기심을 보이며 매우 흥미있어 하였단다.

학교 정원가꾸기와 경제교육은 학교의 성격과 유치원생과 초등학교생들을 가르쳐본 경험이 없는 그 분야의 전문가들이 와서 그 분야의 관계자를 대상으로 하는 내용을 전달하였으므로 별 흥미를 끌지 못하였다. 나도 아이들의 경제교육을 어떻게 시켜야하나. 용돈관리, 돈의 중요성, 금융기관의 역사와 성격, 투자와 소비, 유치원 혹은 초등학교 수준에서 이용할 수 있는 은행 등 금융기관에 관한 정보, 예를 들면 저축 등등, 학교의 관계자들이 알아야 할 정보, 교사에게 좋은 정보 등에 관한 교사를 위한 교육을 기대하고 들어갔는데 Fund가 어떻고 하면서 강의하는 분도 교육쪽과 어떻게 연결시켜야 할지 난감해 하고 있었다. 아무튼 지역사회의 전문가들과 교사들의 교육을 연결해보려는 시도였는데 위의 과학의 예처럼 학교건축 즉 공간 활용과 경제교육도 교사들과 연계된 활동이 있어야 각각의 학교나 교과목에 맞는 교육 내용이 나올 것이다.

내가 가 본 다른 나라에서도 지역사회교육원에서 아이들의 교육을 담당하고 있었는데 주로 외국에서 살다온 가난한 아이들이 사회에 적응하는 것을 도와주고 있었다. 내가 볼 당시에는 미술교육, 과학교육, 음악교육을 실시하고 있었는데 새내기 교사들은 이곳에서 전문가가 아이들을 가르치는 것을 보고 배운단다. 이 나라에서는 박물관을 교사교육의 장으로 적극 활용하고 있었다.

박물관을 찾아온 학생들의 교육과 더불어 유치원부터 고등학교 교사까지 교사를 위한 프로그램을 가지고 있었다. 이 박물관은 대학과 연결되어 박물관 내용물과 교육 프로그램, 교사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있었다. 내가 보았을 당시 박물관의 역사는 7년 되었으며, 내용이 지속적으로 추가되고 있다고 들었다.

내가 체류하고 있는 세인트루이스도 식물원이 대단히 잘되어 있고 다양한 교사교육 프로그램이 있다. 교사들은 자신의 돈으로 연수를 받도록 되어있고 식물원 연수에 참여한 교사들은 연수점수를 받는다. 과목마다 학점처럼 1점, 2점의 credit이 써 있다. 예비교사를 위한 교육도 실시하고 있어서 내가 교환교수로 있는 대학교의 사범대학 초등교육 전공 4학년 학생들이 식물들을 활용한 교육을 받았다. 대학의 학생들이 이렇게 지역사회를 이용하는 것은 매우 드문 사례하고 한다. 교수들이 그 많은 시간을 할애하는 일이 쉽지 않기 때문이란다.

교수들도 학생들과 함께 하고 식물원에서 제공하는 교육내용과 자료에 관심을 보이고 질문을 하였다. 방학에 집중적인 교사교육이 이루어지고 있고 식물원에는 각종 출판사나 교재제작사에서 보내온 최신의 정보 책들과 교재물들이 놓여져 있어서 교사들은 손쉽게 식물과 책이나 교육자료를 비교할 수 있고 자료의 활용법에 관한 지도를 받을 수 있었다. 이곳 시민들은 이 식물원에 대한 자부심이 대단하였다. 식물원 관계자들도 전세계에서 교육자료로서의 이곳의 연구를 찾는 경우가 많다고 자랑이었다.

한국은 전국토 중 산림이 차지하는 면적이 66%이(www. naver.com, ‘지식’에서 발췌)며 삼면이 바다라 산림과 바다에 관한 연구가 많이 축적이 되어있을 것이다. 이러한 지식을 현장의 교육과 연계하여 활용하면 교사들은 수준높은 지식을 배울 수 있고, 배운 지식에 교수방법을 접합하여 대상 학생에 맞는 교육과정을 개발할 수 있으며, 이러한 교사들의 모임이 활성화되면 현장 교육의 내용은 대단히 심도깊게 발전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교사들 중 뛰어난 안목을 가지고 교육내용을 개발하는 경우는 교육사업가와 연결되어 사업화 시킬 수 있다고 위의 과학관계 프로그램들은 권유하고 있다. 열심히 노력하는 사람들에게 기회를 주고 격려하는 것이 미국 사회의 한 특징이라는 생각이 든다.

연수라고 하면 한 장소에 가서 강의를 듣는 것으로 생각하는 것이 보통의 한국 교사교육이다. 위의 사례는 한국의 교사교육에 참고가 될 것이다. 과학자들의 입장에서도 혹은 경제나 건축분야 종사자의 입장에서도 서로 다른 분야에서 활동을 하는 교사와의 만남에서 얻는 지식이 많을 것이다. 21세기의 세계는 한 분야안에서 좁고 깊게 연구하는 것과 더불어 연구된 내용을 각 분야가 서로간의 지식의 공유를 통해 보다 넓게 활용할 수 있도록 발전시켜야 21세기의 선진국이 될 수 있다고 맥루언 등 미래에 관한 혜안을 지닌 학자들은 말한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