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장기고] 디지털 혁신에 대한 기대와 우려

2024.03.04 08:35:37

한국 교육 현장은 인공지능(AI) 디지털 교과서 도입을 앞두고 있다. AI 기술을 접목한 교과서는 기존의 정적이고 단편적인 학습 방식에서 벗어나, 맞춤형 학습 경험을 제공하고 교과서에 본격적인 AI가 도입된다는 면에서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 그만큼 큰 기대와 더불어 우려 또한 커지고 있다.

 

AI 교과서 큰 변화 이끌 것

디지털 교과서에 대한 기대는 개인별 맞춤형 학습이 가능하고 교사 업무 경감을 통한 교육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것이다. 학생에게는 개인의 학습 수준, 속도, 학습 스타일을 분석해 맞춤형 학습 콘텐츠를 제공한다. 교사는 실시간 평가 및 피드백을 통해 학습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그리고 AI를 통한 실시간 자동 채점, 학습 자료 관리, 학생들의 산출물 관리 등 업무를 자동화해 교사의 업무부담을 줄여주고 학생 생활지도 및 인성 지도에 집중할 수 있도록 돕는다. 또 시간과 장소에 제약 없는 우수한 교육 콘텐츠로 교육 격차 해소에 이바지하고, 다양한 언어 지원으로 다문화 학생들에게도 맞춤형 학습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반면 우려도 존재한다. 바로 디지털 과잉 의존에 대한 것이다. 디지털 교과서에 대한 과도한 의존은 사회성, 창의력, 문제 해결 능력 등을 저하시킬 수 있다. 직접 책을 읽고 생각하는 과정이 줄어들고, 디지털 기기에 대한 의존도가 높아짐으로써 학생들의 사고력과 문제 해결 능력이 떨어질 수 있다.

 

또 현장 인프라 구축 부족도 걸림돌이 될 수 있다. 낙후 지역이나 일부 학교의 경우 인터넷 환경이나 기기 보급 부족으로 인해 디지털 교과서를 활용하는 데 어려움을 겪을 수 있고, 향후 기자재 및 인프라 관리에 교사가 투입되는 최악의 경우가 우려된다.

 

교육 방식 변화에 대한 저항도 예상된다. 기존 수업 방식에 익숙한 교사들이 새로운 교육 방식에 적응하는 데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 새로운 기술 활용에 대한 교육과 지원이 필요하며, 교사들의 역량 강화가 중요하다. 이 과정은 현장의 의견 수렴과 동의가 우선이며 일방적으로 진행되면 안 될 것이다.

 

특히 현장 의견 수렴이 중요하다. 디지털 교과서 개발 과정에 전문성을 가진 교사 의견을 적극적으로 반영해 현장 친화적인 플랫폼을 구축해야 한다. 교사들의 실무 경험과 현장 요구는 효과적인 학습 환경 조성에 매우 중요하다.

 

현장 의견 적극 반영해 추진해야

교사 역량 강화를 위한 적극적인 지원도 필요하다. 디지털 교과서 활용 교육을 통해 교사들의 역량을 강화하고 새로운 교육 방식에 대한 이해를 높여야 한다. 교사들이 디지털 교과서를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역량 개발을 위한 지원을 확대해야 한다. 이 과정도 자율적이고 교사 주도적이어야 한다.

 

AI 디지털 교과서는 교육혁신을 이끌 수 있는 중요한 도구지만, 모든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만병통치약이 아니다. AI 디지털 교과서의 성공적인 도입을 위해서는 현장의 동의와 협력이 필수적이다. 정부, 교사, 학부모, 학생 모두 협력해 장점을 극대화하고 우려를 최소화한다면, 우리 교육의 미래를 더욱 밝게 만들 수 있을 것이다.

 

 

조재범 경기 풍덕초 교사
ⓒ 한국교육신문 www.hangyo.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구독 문의 : 02) 570-5341~2 / 광고 문의: 042-824-9139(FAX : 042-824-9140 / E-mail: sigmund@tobeunicorn.kr)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 | 등록번호 : 서울 아04243 | 등록일(발행일) : 2016. 11. 29 | 발행인 : 여난실 | 편집인 : 여난실 | 주소 : 서울 서초구 태봉로 114 | 창간일 : 1961년 5월 15일 | 전화번호 : 02-570-5500 | 사업자등록번호 : 229-82-00096 | 통신판매번호 : 2006-08876 한국교육신문의 모든 콘텐츠는 저작권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