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마을 편지 - 엎지른 물은 다시 담기 어렵다

2016.01.05 11:14:00

새해의 시작입니다.
희뿌연 미세먼지가 하늘에 가득차 있고, 저는 새해를 맞이하여 책을 읽고 필사를 합니다. 손철주의 '그림 아는 만큼 보인다'를 읽고, 필사를 하였습니다. 그 중에 유난히 눈에 띄는 그림 하나를 보았습니다. 유운홍이 그린 [부신독서]입니다.

한 사람이 힘에 겨운 땔감을 지고 독서에 열중해 있는 모습입니다. 이 그림은 한나라 무제 때의 승상을 지낸 주매신의 고사를 그린 그림입니다. 주매신은 집안이 가난해 나무를 팔아 끼니를 마련했다는 그의 고사는 반고의 [한서]에 나옵니다. '늘푼수 없는 책벌레'라고 아내에게 구박받던 주매신은 밤낮으로 책을 읽다 종당에는 이혼을 당하게 됩니다. 그러나 열심히 노력하여 태수의 자리에 올라 금의환향합니다. 그러나 회개한 그의 아내가 옹서를 빌 때 그가 밷은 한 마디가 '복수난수'입니다. '엎지른 물은 다시 담기 어렵다' 였습니다.


올해 처음 읽고 필사한 글입니다. 왜 저는 이 글을 읽었을까요?
아마도 저의 행동에 대해 많이 생각하고 깊이 통찰하여 다른 이에게 상처를 주지 않는 사람이 되자는 마음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일 것입니다.

지난 해 제 행동은 제 맘과는 상관없이 다른 이에게 상처를 주지 않았을까 생각합니다. 그냥 별뜻 없는 말인데 제게 무척 화를 내고 두고두고 말을 하던 사람이 생각납니다. 저의 행동이 많이 미웠던 것 같습니다. 정작 저는 별로 기억에 없는데 말입니다.

새로운 해에는 다시 주워담고 싶을 만큼 행동이나 말을 함부롤 하지 않는 성숙하고 지혜로운 사람이 되기를 진심으로 기도합니다. 그리고 잘못한 것에 대해서는 바로 사과할 수 있는 너그러운 사람으로 살고 싶습니다.

새해,
복 많이 받고 건강하시기 바랍니다.
이선애 경남 지정중 교사
ⓒ 한국교육신문 www.hangyo.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구독 문의 : 02) 570-5341~2 광고 문의: sigmund@tobeunicorn.kr ,TEL 042-824-9139, FAX : 042-824-9140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 | 등록번호 : 서울 아04243 | 등록일(발행일) : 2016. 11. 29 | 발행인 : 강주호 | 편집인 : 김동석 | 주소 : 서울 서초구 태봉로 114 | 창간일 : 1961년 5월 15일 | 전화번호 : 02-570-5500 | 사업자등록번호 : 229-82-00096 | 통신판매번호 : 2006-08876 한국교육신문의 모든 콘텐츠는 저작권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