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반 아이 이야기

2009.04.09 11:45:00

‘흙손’이라는 동시를 4학년에서 배운다. 교사용 지도서에 시의 전문이 실려 있고 교과서에는 삽화만 있다. 교사용 지도서를 실물 화상기를 이용해 보여주면서 읽어주었다. 시적 감수성이 우수한 친구가 있나 싶어 “지금 이 시 한 번 듣고 외울 수 있는 사람”이라고 하니 ○○이가 욀 수 있단다.

“그래 나와서 한 번 외워봐”
그 작은 입에서 한 번 들은 시가 줄줄 노래가 되어 나온다.

흙 묻힌 손
뒤에 감추고 오다가
영감님을 만났네
“어른 앞에서 뒷짐을 지다니.
허, 고놈 버릇없군.“

흙 묻힌 손
뒤에 감추고 오다가
뒷집 애를 만났네.
“얘, 먹을 거냐? 나 좀 다오.”

흙 묻힌 손
뒤에 감추고 오다가
삽사리를 만났네.
“뒤에 든 게 돌멩이지?
달아나자 달아나“


언제나 두런 두런, 소근 소근, 왁자지껄 소란스러운 우리반이 갑자기 조용해진다. 모두가 숙여해진다. 글자 한 자 안 틀리고 외워내는 ○○이에게 보내는 무언의 응원이었다.

“○○이 스타킹 내 보내자”
선생님의 한 마디에 다시 예전으로 돌아온 아이들, ○○이의 마술에서 풀려난다.

○○이는 부모님과 같이 살지 못한다. 사연이 참 많은 아이다. 그리고 그 사연만큼이나 눈물도 많고 눈치도 빠른 아이다. 사회복지 시설에서 같은 처지의 아이들과 함께 목사님을 아버지라 부르며 산단다.

지난 토요일 학교에서 다른 일을 좀 보다가 한 시가 넘은 퇴근 길에 우연히 ○○이를 만났다.
“○○아 어디 갔다 오니” “헌이네 집에서 놀다가 집에 가요”
“점심 먹었니”
“아니 배 안고파요”
배 안 고프다는 이야기만 한다.

‘점심 시간이었는데 왜 자식 친구한테 밥을 먹여서 보내지 않았을까?’
많은 생각을 하게 하였다.
“그럼 집에 들어가면 밥 챙겨주니”
“아니 배 안 고파요”

때가 지나면 밥을 챙겨 달라는 말을 하기가 어려운 모양인지..... 참 가슴이 에려온다. 눈치가 너무 빤한 아이, 아무것도 모르고 응석 부리기에도 바쁜 나이에 눈치를 살펴야 되는 아이. 네 가슴에 상처를 어떻게 할 거나? 네 아픔을 어떻게 할 거나? 이글을 쓰는 순간에도 ○○이 얼굴이 오버랩되면서 눈시울이 붉어진다.

그런 아이가 한 번 들은 동시를 그냥 외워댄다. 아이고 ○○아!
권광식 충청남도서산교육지원청
ⓒ 한국교육신문 www.hangyo.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구독 문의 : 02) 570-5341~2 광고 문의 : wks123@tobeunicorn.kr, TEL: 1644-1013, FAX : 042-824-9140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 | 등록번호 : 서울 아04243 | 등록일(발행일) : 2016. 11. 29 | 발행인 : 강주호 | 편집인 : 김동석 | 주소 : 서울 서초구 태봉로 114 | 창간일 : 1961년 5월 15일 | 전화번호 : 02-570-5500 | 사업자등록번호 : 229-82-00096 | 통신판매번호 : 2006-08876 한국교육신문의 모든 콘텐츠는 저작권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