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혈병과 싸우면서도 ‘수업일지’처럼 12개월간 삶을 기록한 아내 박정안 선생과 아내가 세상 떠나기 전 3개월간 이어 쓴 일기를 8년 만에 책으로 펴낸 우장문(64세, 전 숙지고 교사) 남편의 이야기가 나왔다.
“그래도 내가 아파서 다행이야”
2017년 겨울, 서울성모병원 응급실. 누군가가 “왜 하필 나에게 이런 병이…”라며 울부짖던 그 순간, 옆 침상에서 조용히 들려온 한마디가 있었다. “그래도 내가 아파서 다행이야.” 그 말을 남긴 이는 고(故) 박정안 교사였다. 그리고 8년 뒤, 그 말을 책 제목으로 삼아 세상에 내놓은 사람은 남편 우장문 교사다.
책 『내가 아파서 다행이야』는 한 교사의 마지막 12개월을 담은 투병일기이자, 그 곁을 지킨 남편이 이어서 쓴 3개월의 기록이다. 교사로, 엄마로, 한 인간으로 살아낸 일상의 치열함이 오롯이 담겨 있다.
“아내가 쓴 줄도 몰랐던 일기였습니다.”
우 교사는 아내의 일기를 처음 발견했을 때의 기억을 또렷이 떠올렸다. “입원 후에 무료할까 봐 ‘완쾌되면 책으로 내자’고 제안했어요. 그런데 알고 보니 아내는 이미 다이어리에 일기를 쓰고 있었더군요. 그 사실을 나중에야 알았습니다.”
교사의 마지막 수업일지
박정안 교사는 백혈병 진단을 받고도 매일의 체온과 혈압, 병원 풍경, 학생과 자녀에 대한 생각을 꼼꼼히 적어 내려갔다. 병상에서도 ‘하루의 수업일지’를 쓰듯 일상의 질서를 놓지 않았다. “아내는 입원하면서도 ‘수업 교환도 못 했는데 어떡하나’ 걱정하던 사람이었습니다. 남에게 피해 주는 걸 정말 싫어했지요. 천생 교사였어요.”
아내가 마지막 일기를 쓴 것은 2017년 12월 31일. 그로부터 스무 날 뒤, 펜을 이어받은 사람은 남편이었다. “아내가 더는 글을 쓸 힘이 없어서, 제가 대신 써 내려갔습니다. 완쾌되면 보여주려 했지만, 끝내 보여주지 못했습니다.” 그가 아내의 일기를 다시 펼친 것은 8년이 지난 뒤였다.
“일기를 읽는 내내 심장이 조여왔어요. 병원 진료를 받을 정도였습니다. 8년이 지났어도 아픔은 그대로였지요.” 그 고통의 시간을 그는 걷기로 견뎠다. “이어폰을 끼고 빠르게 걷는 게 유일한 위로였습니다. 저를 스스로 바쁘게 만들었지요.”
책에는 세 자녀의 이름이 자주 등장한다.—아영, 윤명, 아란. “아들에게 일기를 컴퓨터로 옮겨보라 했지만, 도저히 못 하겠다고 하더군요. 저도 그 마음을 압니다. 몇 년이 지나서야 아이들과 상의했지요. ‘엄마를 위해 책을 내자’는 말에 용기를 얻었습니다.”
목차를 본 아들은 끝내 울음을 터뜨렸다. 그 눈물이, 책이 세상에 나오게 한 마지막 불씨였다. “아이들이 각자 먼 곳에서 잘 살아주는 것만으로도 고맙습니다. 엄마가 남긴 글이 그들에게 삶의 길잡이가 되기를 바랍니다.”
박정안 교사는 화가를 꿈을 접고 교직에 몸담은 지 35년이 넘었다. 조종고, 영북고, 수원정보고 등에서 상업 교과를 가르쳤다. “교사는 학생의 거울이라는 말을 늘 했어요. 복장 하나, 말투 하나도 허투루 하지 않았지요. 책임감이 몸에 밴 사람이었습니다.”
우 교사는 아내의 일기를 통해 교육의 본질을 다시 깨달았다고 말한다. “가르친다는 건 지식을 전달하는 게 아니라, 삶의 태도를 보여주는 일이라는 걸 알게 됐습니다. 병상에서도 교사로서의 품위를 지킨 아내는 제게 ‘삶으로 가르친 사람’이었습니다.”
꿈속의 하얀 파라솔 속 아내는 표지 그림으로 환생
“하얀 파라솔 아래, 아내가 서 있었습니다.” 아내가 떠난 뒤, 그는 몇 차례 꿈에서 아내를 보았다. “처음엔 무표정했지만, 어느 날은 하얀 해변의 흰 파라솔 아래 서 있었어요. 그때 마음이 한결 편안해졌습니다. ‘정말 천국으로 갔구나’ 싶었지요.” 책의 표지 그림은 그 꿈속의 장면을 담았다. 화가 박수진 작가가 그의 꿈을 그대로 재현했다.
우 교사는 이 책을 단순한 기록이 아니라 ‘남겨진 가족의 목소리’라 말한다. “아내는 병상에서도 아침을 챙기고, 아이들 걱정을 했습니다. 일상의 평범함이 얼마나 큰 기적이었는지, 아내의 글이 깨닫게 해줍니다.”
그는 인터뷰 말미에 조용히 덧붙였다. “아내와 저는 딱 30년을 살았습니다. 2018년 결혼기념일 하루 전날, 4월 16일 아내는 세상을 떠났습니다. 향년 59세. 지금도 그 30년이 제겐 한순간 같습니다.”
사랑으로 완성된 ‘교육 일기’이자 가족사랑 교과서
책 『내가 아파서 다행이야』는 그래서 단지 한 가족의 슬픔을 담은 책이 아니다. 죽음 앞에서도 흔들리지 않았던 한 교사의 삶, 그리고 그 곁을 지킨 남편의 사랑이 기록된 한 편의 ‘교육 일기’이자 ‘부부의 연대기’다.
우장문 교사는 말한다. “이 책이 누군가에게 가족이 사랑으로 뭉치는 원동력이 되기를 바랍니다. 아내가 마지막까지 보여준 삶의 품격이, 누군가에게 오늘을 더 단단히 살아가게 하는 힘이 되기를.”
죽음은 삶의 반대가 아니라, 그 완성일지도 모른다. 박정안 교사는 병상에서도 ‘삶을 가르쳤고’, 남편 우장문 교사는 그 삶을 ‘기록으로 가르쳤다’. 그들이 함께 쓴 이 책은, 결국 ‘사랑의 교과서’였다.
『내가 아파서 다행이야』 박정안·우장문 지음 | 북랩출판사 | 2025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