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어능력 검사지는 왜 있어야 하나?
지식 정보화 사회에서는 언어능력과 창의적 사고력이 중시되고 있다. 언어능력은 사람이 언어에 대해 가지고 있는 능력이다. 언어는 의사소통 수단으로써 생각과 정보를 전달하기 위한 조직적인 체계를 가지고 있으며 사고를 전제로 한 인지 과정으로 다양한 사고 활동과 창의적 활동을 필요로 하는 무한성, 창조성, 개방성을 가진다. 언어활동은 본질적으로 창의 사고적인 활동이라 할 수 있으며 듣고, 말하고, 읽고, 쓰는 활동을 통해 높은 수준의 언어능력을 신장시킬 수 있다. 핵심 역량을 가진 글로벌 인재양성 계발 전략도 언어·이해 표현 능력 향상이 선결요건이 되고 있다. 하지만 우리나라에는 이러한 언어능력을 검사할 수 있는 도구가 개발되어 있지 않고 설령 개발되었다 하더라도 부분적인 언어 영역이나 학년별로 극소화해서 산재해 있는 실정이다. 한 학생의 총체적 언어 능력이나 영역별 능력을 검사할 수 있는 도구가 전무하다고 할 수 있다. 그러기에 초·중학교별, 학년별, 발달단계에 따른 언어능력을 판별하고 언어능력을 키우는 데 도움을 주는 검사 도구가 필요함을 절실하게 느끼고 있다.
언어능력 검사 도구 개발과정
언어능력 검사는 ▲수용언어로서 이해능력을 볼 수 있는 듣기, 말하기 능력 검사 ▲표현 언어로서 표현 능력을 볼 수 있는 말하기, 쓰기 능력 검사 ▲고등정신 능력으로서의 창의적 사고를 볼 수 있는 창의성, 사고력 검사 ▲여섯 가지 능력을 총체적으로 볼 수 있는 언어종합능력 검사를 개발하는 데 중점을 뒀다. 그 개발과정은 다음과 같다.
[자세한 내용은 월간 새교육에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