뜨거운 태양의 문턱에 들어서기 전에 잠시 그늘에서 한낮의 뜨거움을 생각해 본다. 하늘 높이 치솟은 큰 나무도, 땅의 지열을 느낄 정도의 작은 나무도 교실에서 수업을 받다 지쳐 쓰러져 잠을 자는 학생의 모습을 연상하게 한다. 그렇지만 한낮의 불볕 더위도 시간이 지나 오후 중반에 접어들면 시들어지고 나무에게 그늘을 남긴다.
창조교육도 이와 같은 현상이다. 1년간의 각 학년 교육과정을 보면 대수능과 관련된 과목에는 집중하여 시험 공부를 하고, 그렇지 않는 과목에는 시험 시간에도 엎어져 잠을 청하는 학생도 있곤 한다. 양극화되고 있는 학생들의 사고에서 대수능 중심 과목 중심의 학습체제는 고교 현장의 수업 방향에 대수술을 가할 필요성이 있다. 예체능 교육이 이론 중심으로 전개되고 있는 것을 실습 중심으로, 점수 중심에서 절대평가 중심으로 펼쳐가는 것이 현실정이다. 이런 상황이 계속되려면 대수능 과목 외 과목은 실용중심 수업이 되도록 더 확산시켜야 한다.
제 2외국어 중심의 수업은 학생들의 실용 회화 중심으로 전개되어야 한다. 일선 학교에서는 회화 중심으로 내신고사도 치루는 방향이 의무화되어야 한다. 담당 교과 선생님은 학생들의 수업 태도에 골머리를 앓고 있는 경우도 허다하다. 그렇다고 시간을 채우지 않을 수도 없는 실정이다. ‘기술과 가정’ 과목도 실습 중심으로 펼져지고 있기는 하나 이론 중심 수업에 치우치는 경향이 많다. 이런 과목에서도 이론 중심으로 시험을 볼 것이 아니라 창의적인 아이디어 프로그램 제출 형식 교육이 되도록 유도해야 한다.
음악 과목을 공부해도 명곡 한 곡을 제대로 감상할 줄 모르고 이론에만 치우친다면 이것은 예술문화회관에 가서 음악을 들으라는 것밖에는 안 된다. 학교를 졸업하고 실 생활을 하는 사회인으로 돌아왔을 때 교양인으로서의 자세를 갖출 수 있기 위해서는 학교 교육과정에 메스를 계속 가하지 않을 수 없다. 학교 교육 과정에서 교과마다 창조교육을 도출해 내기 위해서는 교육의 사회화가 더욱 가속화되어야 한다. 비수능 과목일수록 교과의 사회화가 이루어지는 실용화 수업이 이루어지는 방향으로 나간다면 학교 수업에 대한 지루함을 더욱 줄일 것이다.
수업은 끝없는 실험 과정이다. 결과를 창출하기 위해 많은 이론을 접하고 많은 기존의 지혜를 얻기 위해서 선인들의 고견을 터득하려고 불철주야 전등을 밝히고 학생들은 고교 수업 과정을 이행하는 것이다. 시대가 창의적인 인간을 요구하기에 수업은 정적인 이론보다는 동적인 실용화의 길로 나가는 수업을 만들어야 한다. 학생 중심 흥미 수업을 이끌어 가기 위해서는 잠재적인 이론이 현실의 다양한 매체에 접근할 수 있도록, S극과 N극이 자연히 이끌어 가는 것과 같은 원리를 만들어야 한다. 교육이 창조다는 말은 맞다.
하지만 창조를 이끌어 내는 아이디어는 아무 곳에서나 누구나 만들어 내는 것이 아니다. 석가가 진리를 찾기 위해 수많은 고행을 했듯이, 학생들의 창의적인 결실의 열매는 한 순간에 이루어지지 않는다. 교실 수업이 학생들의 잠자는 곳이 아닌 배움의 터전으로 나가는 길임을 인식시키는 의식의 혁명이 필요할 때다. 교사가 수업 시간에 교실에 들어가도 학생은 일어나지 않는다. 학생의 잘못을 선의의 길로 이끌기 위해서는 학생에 대한 진심어린 교사의 내적인 성심이 필요한 시대에 이르렀다. 정토종을 이룬 원효가 불교를 대중화시키는 길은 어려운 교리를 쉬운 교리로 만들어 “나무아미타불”만 외어도 부처의 길로 갈 수 있다는 평범한 진리를 보급시키는데 성공했기 때문이다.
교사 조기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