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가와의 만남’은 작품의 집필 동기, 작품과 관련된 에피소드, 경험담, 작가의 청소년기 독서생활, 작가와의 대화 및 사인회 등의 프로그램으로 구성돼 있다. 학생들이 즐겨 읽고 또 학생들에게 적극 추천하는 권장도서의 작가를 직접 만날 수 있다는 것은 흔한 기회가 아니다.
이 만남을 통해 학생들은 ①작가의 글 쓴 의도를 잘 파악할 수 있으므로, 더욱 깊이 있는 독서가 가능하고 ② 작가라면 당연히 책을 가까이 하기 때문에 그들의 다양하고도 바람직한 독서 습관들을 배우고 모방할 수 있으며 ③ 이러한 만남이 학교 내 도서관에서 이루어진다는 점에서 학생들이 책을 진정으로 벗 삼을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할 수 있다.

오늘 본교 글벗도서관에 초청된 ‘송용진 작가’님께서 글을 쓰게 된 계기는 매우 놀랍다. 만날 친구를 기다리다가 우연히 들어가게 된 경복궁의 매력에 푹 빠지면서 본격적으로 역사공부를 하기 시작했고 2005년에 우리 궁궐의 역사와 문화를 담은 ‘쏭내관의 재미있는 궁궐기행’ 이라는 책을 펴내게 된 것이다.
그리고 이에 그치지 않고 우리의 역사를 학생들의 수준에 맞도록 쉽고 재미있게 풀어나가는 ‘쏭내관의 재미있는 史.교육 현장’을 운영하고 계신다. 그의 저서로는 「쏭내관의 재미있는 궁궐기행 1,2」「한국사 기행」「왕릉 기행」등이 있는데 오늘 작가와의 만남을 참석한 학생들은 그의 저서를 지참하여 사인을 받아가기도 했다. 그 학생에게 오늘은 아주 특별한 날이 될 것이며, 작가의 친필 사인을 입은 그 책 역시 학생의 또 하나의 보물이 될 것이라는 점은 볼 수 없어도 자명하다.

우리나라가 반 만년 이상의 장구한 역사를 자부할 수 있는 것은 이를 통해 우리 민족의 정신과 정체성이 계승돼 올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요즘 학생들에게 역사란 ‘따분하고 복잡한 것’ ‘알아도 별 소용없는 것’으로 치부되는 듯하여 매우 안타깝다.
급변하는 세대를 살아가는 학생들이 역사를 따분한 것으로 여긴다면, 이러한 행동을 나무라기보다는 ‘학생들 수준과 흥미에 맞는 눈높이 역사교육’ 에 대해서 끊임없이 고민해야 한다. “이렇게 쉬운 말을 어렵게 써 놓으니, 학생들이 역사를 싫어하지!”라며 체념하는 것에 그치지 않고, ‘쉽고 흥미로운 역사 이야기를 내가 한 번 구상해 보아야겠다’라는 도전이 오늘 이시간의 ‘송용진 작가’를 낳았다. 아무쪼록 칠보초 학생들은 오늘 이 시간이 매우 귀중한 시간임을 깨닫고 ‘책을 한 권 쓰기 위해선 적어도 책 100권을 읽어야 한다‘는 작가님의 말씀을 잘 새겨서 역사도서 뿐 아니라 다양한 분야의 책 읽기에 끊임없이 도전하고 즐기는 칠보초 학생들이 되기를 소망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