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효과적인 부모와 교사역할 훈련’이라는 주제 아래 5월 2일부터 11월 30일까지 진행하기로 계획된 이 사업은 ‘학부모와 교사가 함께 하는 학교평생교육’임을 강조하고 있다. 이를 통해 올바른 부모의 역할을 익혀 자녀와의 좋은 관계를 유지할 수 있고, 학교의 자원을 공유하며 소통과 나눔의 기회를 제공할 수 있다고 여겨진다. 이러한 취지에 입각해 칠보초 학부모들과 교사들은 매주 귀중한 2시간을 할애하여 다양한 경험과 지식을 지닌 강사들로부터 효과적이고 실질적으로 아이들을 이해하는 방법을 배우고 있다.
우리는 흔히 교육의 3주체로서 교사와 학생 그리고 학부모를 언급한다. 그러나 현실적으로 학부모와 학교라는 공간 사이에는 묘한 거리감이 있다. 맞벌이 부부 가정 혹은 자녀가 고학년인 경우에는 그 정도가 조금 더 크다.
교육의 주체간의 의사소통이 원활해야만 아이들과 공교육의 미래가 밝은 법. 더군다나 선정적이고 자극적인 것만을 선호하며 점점 이기적으로 변하는 아이들의 성향에 좀 더 효과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방법을 갈구해왔던 학부모님들의 수요를 고려한다면, ‘학부모를 교육하자’는 칠보초의 발상은 실로 적합한 것이다.
“우리 아이가 달라졌어요라는 프로그램을 보면, 아이 문제행동이 아이와 부모와의 관계 혹은 가정의 환경 때문인 경우가 많더라구요. 아이의 행동을 나무라기보다는 제가 좀 더 현명한 부모가 되어 아이를 이해해주어야겠다는 생각은 들었는데 방법을 모르던 참이었어요.”
“강사님이 어떤 상황을 예로 들어 설명해주시는데, 정말 공감이 가요. 자녀를 대했던 저의 태도를 많이 반성하게 됩니다.”
학부모들의 마인드가 점점 성숙해져감을 느낄 수 있었다.
교직원들이라고 예외일 것은 없다. 방과 후 각종 업무로 바쁜 와중에도 학부모 평생교육 연수를 청강하려는 이유는 무엇일까? 사실 그들도 눈에 넣어도 안 아플 듯한 자녀를 둔 학부모이기 때문이다. 심지어 아직 결혼을 하지 않은 교직원들도 연수를 청강하는 모습이 보였다.
“저도 곧 학부모가 될 것인데, 들어두면 나중에 다 도움이 될 거 같아요. 그리고 교사는 제2의 학부모라는 말도 있지 않습니까? 32명씩이나 되는 우리 아이들 ‘예쁜 마음을 가진 아이’로 키우려면 가장 앞자리에서 숨죽이며 들어도 부족할 따름입니다.”
예전에는 몰랐는데 자신이 사춘기를 힘들이지 않고 보낼 수 있었던 이유가 연수 내용대로 나를 대해주셨던 우리 부모님의 양육방식 덕분인 것 같다면서 눈시울을 붉힌 선생님도 계셨다.
사실, 비용도 많이 들뿐더러(총280만원) 학부모님들과의 시간 맞추기도 힘들 것이라는 우려가 없는 것은 아니었다. 그러나 문제의 심각성을 느끼고 해결의 필요성을 느끼는 현실에서는 없던 시간도 생기게 하는 놀라운 힘이 있나보다. 요즈음은 개강했을 당시보다 더 많은 학부모님들이 참여하시고 배우신다. 그리고 이 과정을 모두 수료하신 학부모님들 중 일부를 ‘학부모 상담교사’로 위촉하여 학생 상담 활동에도 활용한다고 하니 인출 대비 산출의 효과가 막대할 것으로 기대된다.
한편, 칠보초에서는 2011년도 상반기를 ‘ 효과적인 대화 기법 (6/21일)’, ‘우리 자녀의 성교육 (6/27)’ ‘내 자녀를 창의적인 인재로, 내 자녀 경제교육(7/5)’라는 주제 강의로 마무리할 것이라고 전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