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럼] 마지막

2021.12.06 10:30:00

 

50년 지기(知己) 친구 S와 근래에 더 각별하게 교유하게 되었다. 우리가 평범한 존재이지만, 아주 의미 없이 살지는 않았으니, 살아온 이야기를 글로 써 보자는 나의 제안에 S가 동의했기 때문이다. S는 경제학을 전공했고, 대기업 임원도 했었다. 뒤에 불교 공부에 심취한 그는 사람과 세상을 헤아림에 도량이 있었다. 생각이 깊고 너그러웠으므로 그의 글을 기대할 만했다. S는 조건을 달았다. “나는 글쓰기 경험도 없고, 익숙하지도 않다. 혼자서는 엄두를 내지 못하겠다. 박 교수가 이 작업에 도움을 준다면 한번 해 보겠다.”

 

이렇게 해서 S는 2019년 봄부터 글쓰기를 시작했다. 그간 우리는 십수 차례 만났다. S는 그때마다 서너 꼭지의 원고를 써서 가지고 나왔다. 서로 읽고 합평해 가면서 원고를 다듬어 나갔다. 코로나 와중에도 계속 메일을 주고받으며 이 작업을 쉬지 않았다. S가 불교 포교사 자격시험을 준비하던 반년간을 제외하곤, 자신의 생을 반추하고 응시하는 좋은 글들을 꾸준히 보내왔다. 가슴 뭉클하게 하는 글들도 많았다. 2년이 지나면서 한 권 분량의 원고가 되었다. 

 

나는 S에게 말했다. 이제 출판해도 좋겠다. 그런데 S는 유보적이다. 좀 더 생각해 보자고 한다. 보잘것없는 견문과 자기 안목에만 갇혀서 쓴 글이라, 책이 되기에는 너무 부족하단다. 내가 말했다. 개인 산문집이란 자아를 솔직히 드러내면 공감을 얻는다. 자랑이 넘쳐서만 책을 쓰는 건 아니다. 오히려 그런 책은 허세만 번져 나올 뿐, 알맹이가 없다. 지난 2년 공들여 정직하게 쓴 글이니, 책으로 묶으면 그만한 보람을 발견할 것이다. S는 내 말을 묵묵히 듣기만 했다. 우리는 열흘 뒤 어떤 문화제 행사에서 만나기로 하고, 그때 출판 계획을 세우기로 했다.

 

그렇게 카톡 문자와 전화를 주고받은 것이 바로 어제였다. 오늘 나는 고속열차 편으로 고향에 내려가고 있다. 차에서 긴급으로 SNS 문자 하나를 받는다. 너무나도 낯선 내용이다. 이게 도대체 무슨 말이지…. 아니, 아니, 나는 한참 동안 그 문자를 받아들이지 못한다. S의 별세 소식을 전하는 메시지이다. 

 

S는 오늘 북한산 등산길에서 갑작스러운 심근경색과 맞닥뜨려 세상을 떠났다는 것이다. 그렇구나. 어제 그와 나눈 전화가 마지막이었구나. 마지막이 그렇게 올 줄 알았으면, 뭐든 좀 서둘걸. 그렇구나, 마지막은 소리 없이 오는구나. 생의 마지막은 묵시록처럼 숨은 계시를 담고 소리 없이 다가오는구나. 

 

마지막에 도달했음에도 허다한 미완성을 거느리는 것이 인생이다. 애초에 신은 사람의 인생이 미완성의 방식으로 끝나도록 설계를 해 놓은 것인지도 모르겠다. 나는 문득 S가 남기고 간 원고들이 생각났다. 아직 책으로 엮어지지도 못한 채 미완성으로 남은 그의 자전적 에세이들이 생각났다. 내 컴퓨터에도 고스란히 들어 있는 그 원고들이 생각났다. 

 

사람들은 대개 마지막에 이르러 자신의 생에서 이룬 것과 이루지 못한 것을 돌아본다. 누구나 이루지 못한 것에 대한 회한이 클 것이다. 아일랜드 출신으로 노벨 문학상을 받은 재기와 위트의 작가 버나드 쇼(George Bernard Shaw, 1856-1950)가 직접 자신이 썼다는, 그 유명한 묘비의 글도 그런 한탄을 나타낸다. 

 

“우물쭈물하다 내 이럴 줄 알았다.

(I knew if I stayed around long enough, something like this would happen.)” 

 

뜻한 바를 이루지 못하고 무언가 허비한 인생에 대한 탄식을 특유의 유머 감각으로 담았다고나 할까. 마지막에 이르러 인생을 돌아보며, 다 이루었다고 자신 있게 말할 수 있을 사람이 얼마나 될까. 아무도 그런 말을 할 수 없기에 우리는 인간의 경지에 머무는 것 아닐까. 바로 그 점을 깨닫게 해 주는 사건이 있다. 십자가형으로 로마제국의 군병에게 창에 찔리며 죽임을 당하던, 운명 직전의 예수가 했다는 말은 “다 이루었도다.”이다. 이 대목을 두고 많은 신학적 해석이 있지만 나는 그저 소박하게 생각한다. 이런 마지막은 인간에게는 불가능하다.

 

‘마지막’이란 말은 꼭 생의 종말을 감당하는 데만 쓰이는 것은 아니다. 마지막은 죽음 말고도 인생의 갖가지 고비에 알게 모르게 개입한다. 내가 존경하는 한 원로 목사님의 술회가 떠오른다.

 

“6.25가 일어나던 해, 나는 열 살이었습니다. 그때, 나는 평양에 살고 있었는데, 어느 날 밖에서 집으로 들어오자, 어머니는 지금 형을 따라서 남쪽에 있는 친지 댁으로 가라고 했습니다. 형은 진작부터 공산 치하를 벗어나 남으로 가려던 생각이 있었지요. 어머니는 어린 나에게, 가서 조금만 기다리면 오래지 않아서 곧 만날 거라고 합니다. 나는 그저 잠시 여행 가는 기분으로 형을 따라 나왔습니다. 그것이 어머니와의 마지막이었습니다. 누가 마지막일 줄 알았겠습니까. 어머니는 마지막을 예감하셨을까요. 마지막이라는 티를 내면, 어린 아들이 떨어지지 않을까 봐서 곧 만난다고 하셨는지! 아무튼 마지막은 그렇게 왔습니다.”

 

북의 고향을 떠나온 실향민들에게는 이런 사연이 헤아릴 수도 없이 많다. 이제는 그 세대들도 8·90의 고령에 들었다. 부모와 마지막이 될 줄 모르고, 그 마지막을 겪어낸 이산의 아픔은, 다시 그들 인생의 마지막 앞에서 잦아질 줄을 모른다.

 

마지막은 왠지 슬프다. 왜 그런가. 마지막은 마지막이어서 슬픈 것이다. 이제 그대 얼굴을 다시 보지는 못하리라. 이제 이 고향 땅을 다시는 보지 못한다. 언제 또 이런 장면을 내 인생에서 만날 수 있으랴. 이것이 마지막이 마음에 심어주는 구체적 정서이다. 

 

‘마지막’은 존재론의 시작과 끝을 지탱시키는 말뚝과도 같은 말이다. 인간이 유한(有限)한 존재가 아니고, 세계의 만상(萬象)이 무상(無常)하지 않다면, ‘마지막’이란 말은 생겨나지도 않았을 것이다. 

 

인간은 ‘마지막’에 취약하다. 도덕과 풍속이 쇠퇴하여 타락한 세상을 두고 “말세다!”라고 통탄한다. 마지막 앞에서 걷잡을 수 없이 황폐해지는 인간을 보며, ‘말세!’를 외친다. ‘말세’, 말 그대로 하면 ‘끝나가는 세상’이다. 하지만 사전은 ‘말세’를 그렇게 풀이하지 않고, ‘정치·도덕·풍속 등이 아주 쇠퇴한 시대’라고 풀이한다. 말세에는 사람들의 망가진 정신(mentality)의 허약함을 이용하여 그들을 후려치려는 혹세무민(惑世誣民)의 사기꾼들이 등장한다.  

 

그래서 마지막은 혼돈과 동의어가 된다. 혼돈의 극치이었던 ‘타이타닉호의 마지막’을 생각해 보라. 시대 사조(思潮)상의 퇴폐주의라는 것도, 내일이 없고 오늘이 마지막이라는 의식, 세기말 사상에 또아리를 틀고 있다. 그래서 내일 세상의 마지막이 와도 오늘 한 그루의 사과나무를 심겠다는 스피노자(Spinoza, 1633-1672)의 어록은 이성의 아름다움과 숭고함을 보여 준다. 

 

도로 사정도 교통 사정도 좋지 않던 시절이었다. 먼 길을 나서려 하면, 어른들이 꼭 일러 주시는 말씀이 있었다. “막차 타지 말라.” 막차란 마지막으로 다니는 버스나 기차이다. 고장이 너무도 빈번했으므로 마지막 차를 타고 가다 고장이 나면 그야말로 낯선 곳에서의 예상치 못한 곤경에 빠지곤 했다. 취업 면접이나 입시에 가는 길이었다면, 낭패를 피할 수 없었다. “막차 타지 말라.” 마지막을 이성적으로 통어하려는 지혜로 이처럼 적실한 것이 있을까. 인생 행로 곳곳에도 우리를 기다리는 막차는 있고 또 있다.

 

시작이 있으면 마지막도 있다. ‘마지막’을 오갈 데 없는 끝으로만 생각하면, 그건 너무 옹색한 시야이다. 그 마지막도 잘 감당하여 안아 들이면, 마지막의 또 다른 모습을 볼 수 있을 것이다. 모든 마지막 안에는 그 어떤 새로운 ‘시작’이 은신해 있다. 마지막은 시작을 잉태한다. 잘 안 보일 뿐이다. 학업의 마지막, 즉 ‘졸업’이라는 뜻으로 쓰는 영어 ‘commencement’는 ‘시작’이라는 뜻도 함께 지니고 있다 하지 않는가.

 

그렇다면 나는 친구 S와의 마지막 이별을 어떻게 또 다른 ‘시작’으로 이어갈 것인가. 생각 하나를 굳힌다. S가 남긴 에세이 원고들을 정리하여 반드시 책으로 엮어 출판해 주어야겠다. 이제 그 일을 시작하려고 한다. 마침 올 한 해도 다 저물어 마지막 달이다. 

 

박인기 경인교육대학교 명예교수
ⓒ 한국교육신문 www.hangyo.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구독 문의 : 02) 570-5341~2 / 광고 문의: 042-824-9139(FAX : 042-824-9140 / E-mail: sigmund@tobeunicorn.kr)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 | 등록번호 : 서울 아04243 | 등록일(발행일) : 2016. 11. 29 | 발행인 : 여난실 | 편집인 : 여난실 | 주소 : 서울 서초구 태봉로 114 | 창간일 : 1961년 5월 15일 | 전화번호 : 02-570-5500 | 사업자등록번호 : 229-82-00096 | 통신판매번호 : 2006-08876 한국교육신문의 모든 콘텐츠는 저작권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