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는 교육주간 60년을 맞아 1900년대부터 오늘날까지 교육현장의 모습을 담은 사진을 공모했다. 대한민국 교육 역사를 되돌아보고, 교육에 대한 사회의 관심을 끌어내고자 실시한 이번 공모전에는 그동안 보기 힘들었던 1900년대 ‘전주신흥학교 교실’ 등 장롱 속에 묻혀있던 사진들이 새롭게 등장해 눈길을 끌었다. 사진에 담긴 추억의 이야기를 들어봤다.
제60회 교육주간 사진공모전에서 김판용 전주 아중중 교감이 응모한 ‘1900년대 전주신흥학교 교실’ 사진이 금상으로 뽑혔다.

김 교감이 출품한 사진에는 우리나라에 근대교육이 들어온 지 얼마 되지 않은 1900년대 초 전주신흥학교 교실 모습이 생생히 나타나 있다. 판자를 연결해 만든 것처럼 보이는 칠판과 책상, 멍석으로 만든 바닥 등 열악한 환경 속에서도 스승 앞에서는 바짝 긴장된 표정으로 무릎을 꿇고 허리를 꼿꼿하게 펴서 바르게 앉아 있는 모습이 오늘날 교육현실과 잘 대비된다. 한복을 입은 학생 앞에 모자가 가지런히 놓여 있는 것으로 미뤄볼 때 당시 학생들은 한복에 모자를 쓰고 등교했던 것으로 추측된다.
그동안 100년 이상 된 학교를 돌아다니며 옛날 사진자료를 수집해 왔다는 김 교감은 “1800년대 말에 지어진 전북 최초의 초등학교는 화재로 소실돼 당시 자료를 구할 수 없는 것이 안타깝다”며 “이번에 출품한 사진이 학교 모습을 담은 사진으로는 전북에서 가장 오래된 사진일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또 “이미 상당한 교육 사진자료를 수집하긴 했지만, 앞으로도 고(古) 자료를 수집해 우리나라 교육사의 중요한 자료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고 싶다”는 바람을 나타냈다.
은상은 윤오진 광명 광성초 교사와 이상만 전 경기 정남중 교장, 차용만 춘천 창촌중 교장에게 돌아갔다.

윤 교사는 1976년 이른 봄 화재로 학교건물이 타버려 운동장에서 콘크리트 벽을 칠판삼아 수업했던 남부고등공민학교 수업 장면을 담은 사진을 출품했다. 사진 속에 등장하는 교사는 윤 교사 본인으로 당시 이 학교에서 수학과 물상을 가르쳤다. 윤 교사는 “달동네 가난 속에서 일과 학업을 병행하며 꿋꿋이 살아가던 학생들의 모습이 아직도 생생하다”며 “힘들게 마련된 배움터가 한순간 화재로 소실돼 복구하기까지 많이 힘들었지만 그만큼 보람도 있었다”고 회상했다.

이 전 교장이 출품한 ‘경기도 학도 애향대 모내기 일손 돕기’ 사진은 84년 6월 따가운 햇살 속에서 땀 흘려 봉사하는 학생들의 모습을 담았다. “과거에는 학생 단체 활동이 활성화되어 있었다”는 이 전 교장은 “국가시책이 그랬기도 하지만, 교사나 학생 모두 사회에 공헌하려는 사명감을 가지고 있었기 때문”이라며 “요즘 학교 현장에서는 이런 사명감이 많이 약해진 것 같아 아쉽다”고 말했다.

1970년대 강원 양양여고 재직시절 학생들의 도시락을 검사하던 자신의 모습이 담긴 사진을 출품한 차 교장은 “70년대만 해도 쌀이 부족해 학교에서 점심시간마다 잡곡혼식을 잘 하고 있는지 검사하곤 했다”며 “그리 오래 전 일도 아닌데 요즘 학교의 모습과 비교하니 격세지감이 느껴져 출품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그는 또 “교사와 학생이 교실에서 함께 도시락을 먹으며 정을 쌓았던 그때가 그립다”고도 했다.
동상은 박선화 서울 신성초 교사와 이홍종 진명여고 교사, 정주현 대구 경상중 교사, 충북 영동에 거주하는 김영화 씨가 수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