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취업난 심화에 따라 인문.사회학문의 침체가 가속화되고 있는 가운데 충남대가 매월 인문학 포럼을 개최하는 등 지역 대학들이 인문학 르네상스를 꾀하고 있어 관심이다.
26일 지역 대학들에 따르면 충남대는 이날 오후 4시 인문대학 문원강당에서 인문과학연구소 주최로 '제3회 인문학 포럼'을 가졌다.
이날 인문학 포럼에서는 '왜 언어학? 언어학의 학제적 역할'이란 고려대 이기용 명예교수의 특강과 언어의 현대적 역할에 대한 주제 토론도 진행됐다.
이 인문학 포럼은 대전시 등의 후원을 받아 올해 처음 시작한 것으로 지난 4월부터 매월 두차례씩 열고 있는 데 인문학의 침체와 부진을 털어낼 수 있는 의미있는 시도로 풀이된다.
또 7월부터는 대전지역 인문학 관련 교수, 단체 등이 폭넓게 참여하는 '(가칭)대전인문학연구회'를 발족, 인문학 포럼의 규모와 내용 등을 확대시킬 계획이다.
이와 함께 충남대 유학연구소도 오는 27일 건양대 명곡정보관에서 학술대회를 갖고 '암천처사 박증의 도학과 현대사회(고려대 윤사순)', '보인당과 기호유학(충남대 이종성), '모곡서원 창건의 역사와 정신(공주대 이해준)' 등 인문학의 새로운 지평을 논의한다.
목원대의 경우는 해외 석학 초청 강연회를 통해 인문학에 대한 관심을 높여가고 있다.
지난 23-24일 이 대학 신학연구소는 중국 중앙민족대학교 요우빈(游斌) 교수와 허지민(何基敏) 교수를 각각 초청, '제2차 해외석학 집중 강연회'를 갖고 중국 소수 민족의 종교상황 등에 대한 강연을 진행했다.
인문사회 분야가 강점인 금강대도 지난해부터 세계 석학 초청 특강을 이어오고 있는 데 지난해 베이징(北京)대학 철학부 부학장 호 군(湖 軍) 교수 등 5명의 석학을 초청, 강연을 가진데 이어 올해에도 지난 2일 베이징 대학 탕이제, 웨다이윈 교수의 초청 인문학 특강을 가졌다.
이밖에 대전대는 지난달 30일 한국일본문화학회 주최로 '한일문화교류'란 주제의 국제학술대회를 갖고 한.일 양국의 고유문화의 균형적 발전 방안을 모색했고 한남대의 경우는 과학기술법연구원 주최의 학술포럼을 진행해오고 있다.
충남대 인문과학연구소 차전환 부소장은 "인문학은 기초학문으로 중요성은 강조되지만 현실적인 경제논리 앞에 상대적인 소외가 심화되고 있는 실정"이라며 "대전지역 각계 인문학 인사의 참여를 통해 이름에 걸맞은 학술포럼으로 발전시켜갈 계획"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