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담도 개발사업과 관련, EKI(싱가포르계 투자회사) 발행 채권 중 2천300만달러(236억원) 어치를 매입해 외압 의혹을 받고 있는 한국교직원공제회(이사장 김평수)는 "통상적 관례에 따라 증권사가 채권 매입을 제의해 수익성 등을 면밀히 검토한 뒤 이뤄진 순수한 투자일 뿐 외압은 있을 수도 없다"고 밝혔다.
공제회는 25일 해명자료를 내고 "EKI 채권은 원금과 5.7%의 수익이 보장된 채권으로, 한국도로공사가 1억500만달러의 지급 보증까지 해 모두 돌려받는 데 문제가 없다"고 설명했다.
또 채권 매입 시점부터 이런 안전판을 확인한 것은 물론 주식에 대한 질권 설정과 환차손 방지를 위한 시중은행과의 스왑 계약까지 체결해놓은 상태여서 어떤 상황이 생기더라도 원금과 약정된 수익을 전액 회수할 수 있다는 것.
공제회는 채권 매입 경위에 대해 "EKI 신용등급은 매우 우량한 AAA등급이었으며 수익률도 당시 어떤 회사채보다 좋은 조건인 5.7%였다"며 "올해 1월 초 주간 발행사인 씨티증권으로부터 매입 제의를 받아 투자를 결정했다"고 밝혔다.
당초 씨티증권은 우정사업본부와 교직원공제회에 절반씩 매입할 것을 권유했으나 우정사업본부가 채권의 미래가치를 보고 총물량의 4분의3인 6천만달러 어치를 매입하겠다고 밝혀 나머지 물량인 2천300만달러 어치를 매입했다는 것이다.
또 '국내에도 좋은 투자 물건이 있었는데 해외채권을 매입한 것이 의아스럽다'는 지적에 대해 이 회사 신용등급보다 한 등급 아래인 AA등급의 5년물 회사채 수익률이 5.04%에 불과했고 도로공사 채권 수익률도 4.67%에 그쳤었다고 강조했다.
외압 의혹에 대해선 "공제회는 전국 교직원의 재산을 위탁받아 운영하는 공공기관으로 교육부와 감사원, 국회로부터 국정감사를 받는 만큼 어떤 외압도 받을 수 없고, 외압이 있다면 즉시 제재를 받지 않을 수 없는 체제"라고 주장했다.
교육부는 교직원공제회가 500억원 이상을 투자할 때만 교육부 승인을 받도록 하고 있기 때문에 이번 투자에는 (교육부가) 간여하지 않았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