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교육부는 17일 서울 영등포구 국회 의원회관에서 김영호 국회 교육위원장과 공동으로 ‘국가균형성장을 위한 지속가능한 대학 생태계 구축 국회 토론회’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교육부는 지난 9월, 국정과제인 ‘지역교육 혁신을 통한 지역인재 양성’을 추진하기 위해 ‘국가균형성장을 위한 지방대학 육성 방향’을 발표한 바 있다. 이에 따르면 ‘5극 3특 국가균형성장 전략’과 연계해 각 권역의 거점국립대를 중심으로 지·산·학·연 협력체계를 만들어 나갈 예정이다. 또한 지역혁신중심 대학지원체계(라이즈, RISE)를 통해 중․ 소규모 지역 대학도 지역과 밀착한 특성화 대학으로 성장하도록 상생 구조를 구축하게 된다.
이번 토론회는 수도권 중심의 1극 체제에서 벗어나 국가균형성장을 이루고, 대학이 정부 재정지원에만 의존하지 않고 지속적으로 성장하기 위해서는 대학-지역-기업 간 연계·협력이 무엇보다 중요하다는 인식에서 마련됐다.
토론회에서 주제 발표를 맡은 김우승 한국공학교육인증원장은 인공지능 시대에 부응하는 산학일치 교육·연구 모델의 다양한 국내외 성공 사례를 분석한 뒤 산학협력의 방향을 제시했다. 김송년 산업연구원 지역산업정책실장은 지방시대위원회 5극 3특 특위 위원으로서 지역 성장엔진 산업과 연계한 대학-지역 협력 사례 확산 방안에 대해 발표했다.
이어진 토론에서 대학 교원 인사 혁신 사례, 대학과 지자체 협력 사례, 대학의 산학협력 수익 확대를 위한 정책 제언 등이 논의됐다. 교육부는 이번 토론회에서 논의된 사례와 정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