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악은 아름다운 마음의 표현입니다.” 수원 출신 테너 양원섭(71). 무대 위에서는 여전히 청춘처럼 노래한다. 오는 13일 오후 7시 30분, 경기아트센터 소극장에서 그의 13번째 독창회가 열린다. 이번 무대에서는 이태리·독일 가곡, 그리고 서정미 가득한 한국 창작가곡까지 선보일 예정이다.
그는 부모님을 따라 1966년 수원에 정착한 59년간 수원토박이다. 수원신풍초, 수원북중, 수원농고를 나왔다. 한양대 졸업 후 교편을 잡았다. 초임지 수원관내 영신여고(10), 동성여중(3), 수성고(7), 세류중(2), 수원농고(4.6)에서 음악을 지도했다. 수원 5개교에서 근무한 연수만 총 26.6년이다.
10년간 근무했던 영신여고 제자들은 지금도 만난다. 제자들 이름을 모두 기억하고 교류하고 있는 것. 당시 음악 시간은 실기에 중점을 두었다. 학생들은 교과서에 나온 우리 가곡은 물론 현존하는 한국가곡 1곡을 1주나 2주 동안 섭렵했으니 다 익힌 셈이다. 학생들은 음악시간 악보를 적고 이태리 가곡까지 노래를 부르고 밴드부나 합창부에 속해 음악을 맘껏 즐겼다. 교사 열정이 얼마나 대단한 지 1983년 첫 독창회를 가졌다. 그의 나이 29세다.
그가 음악을 시작하게 된 동기가 궁금했다. 당시 수원북중 입시 9등으로 입학한 그는 입학식에서 주악을 울리는 브라스 밴드소리에 정신을 빼앗기고 말았다. 밴드부에 들어간 그는 트럼본을 불었다. 당시 수원북중과 수원농고는 한 학교였는데 수원농고에 들어가면 S대에 보내준다는 말에 입학을 했으나 중·고교가 분리되는 바람에 그의 꿈을 깨지고 말았다. 선배의 조언으로 한양대 지원 기악과(트럼본)에서 성악과로 바뀌었으나 이론, 시창(자유곡, 이태리곡), 청음, 콩코네 등을 통과해 합격했다. 트럼본 연주자에서 성악가로 변신 계기가 된 것이다.
그가 좋아하는 음악은 무엇일까? 그는 슈베르트 가곡을 꼽는다. “가사(詩)와 피아노가 절묘하게 어우러진다. 마치 기계처럼 운(韻)이 맞아 떨어진다. 슈베르트에게 있어 피아노는 반주가 아니다. 피아노와 성악이 이중주다. 피아노만 치면 독주곡이다. 즉, 피아노와 노래, 가사가 삼위일체다. 그래서 가곡의 왕이다. 독일 가곡을 예술의 반열에 올려놓았다. 오페라는 성량이 커야 하지만 리트(Lied 독일 예술 가곡)는 음악성이 깊어야 한다.” 그는 지금도 레슨을 받고 있다. 리트에 조용히 깊이 빠져들고 있다고 고백한다.
13번째 독창회, 이화우처럼 흩날리는 노래로
그는 이번 독창회가 13회째라고 한다. 초임지 영신여고에서만 3회를 가졌고 근무지 학교를 옮길 때마다 2년에 한 번 꼴로 독창회를 가졌다. 이번 연주회에서는 이태리와 독일 가곡, 우리 가곡 등 총 14곡을 부른다. 앵콜곡도 준비되어 있다. 그는 우리 가곡을 예찬한다. 서정성이 뛰어난 대단한 선율이라는 것이다. 그는 이번 독창회에서 창작가곡 ‘그대를 사랑하며’(강심원 시, 주용수 곡)과 ‘이화우’(梨花雨, 이매창 시, 이원주 곡)을 연주한다.
그가 잊을 수 없는 아름다운 추억은 난파합창단 지휘봉을 잡은 10년이다. 창단 25주년 음악회를 지휘했는데 그때가 좋았다고 했다. 당시 부른 ‘히브리 노예들의 합창’과 성가곡 등은 지금도 귀에 잔잔히 울려 퍼진다. 수성고 재직 시절엔 아침 자율학습 하는 학생들 합창단으로 빼어간다고 담임들과의 의견 충돌도 있었으나 다행히 담임의 교육적 배려로 잘 해결되었다고 한다.
필자는 엉뚱한 질문도 했다. 독창회 관람객이 가져야 할 마음의 자세는? “관객은 음악을 들으러 가는 것이지 평가하러 가는 것은 아니다. ‘그 실력에 무슨 독창회?’라는 태도보다는 음악적 성장을 꾀하려는 노력, 최선을 다해 연주하는 태도를 보아주었으면 한다. 음악 선배로부터 4년간 배웠더니 발성이 달라졌다”고 고백한다. 그전까지는 발성의 과정은 모르고 흉내만 낸 꼴이라고 한다. 밑에서 무언가가 받치고 있으려면, 득음의 경지에 이르려면 부단한 노력이 절실함을 느꼈다고 한다. 그는 지금도 하루 1시간 이상 발성 연습을 하고 있다.
그는 어려서부터 음악을 계속해 왔다. 음악으로 그의 인성도 바뀌었다. 그는 “음악은 아름다운 마음의 표현이다”라고 정의한다. 음악인 중 악인(惡人)은 없다고 단언한다. 순수한 마음과 아름다운 마음의 소유자가 음악인이라는 것이다. 성악을 하려는 사람들에게 “성악의 기본은 연습이다. 손흥민 아버지가 자식에게 축구의 기초를 충실히 연습시켰듯이. 기초를 다지지 않으면 사상누각이다. 발성 연습은 매일 끊임없이 음악생활을 마칠 때까지 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그의 부탁사항이다. “독창회에 지인들과 함께 오셔서 같이 호흡 맞추어 주시는 것이 음악인들에게는 커다란 자양분입니다.”
필자의 이 기사로 음악 애호가들이 가족 단위로 삼삼오오 찾아와 300석 만석이 되었으면 한다. 사전질문을 건네고 90분간 인터뷰했는데 말씨가 품격있고 태도가 겸손하고 음악적 학식과 경험이 풍부한 인격을 갖춘 성악가라는 것을 느꼈다. 수원에서 태어나, 수원에서 가르치고, 수원에서 노래하는 음악인, 테너 양원섭의 노래 인생은 여전히 진행 중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