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78년에 박정희 대통령이 설립한 국책 국학연구기관인 한국정신문화연구원(원장 윤덕홍)이 진통 끝에 한국학중앙연구원(韓國學中央硏究院)으로 재탄생하게 됐다.
이를 위한 '한국정신문화연구원육성법중개정법률안'이 지난 달 29일 국회 본회의를 통과함에 따라 이에 대한 정부의 공포 절차만 남겨두게 됐다.
이번 명칭 개편은 연구원이 중점 연구과제로 표방하고 있는 `정신문화'라는 개념이 모호하다는 비판에 줄곧 시달렸던 데다 지나치게 국가주의적인 연구 성향이 비판의 표적이 된 데 따른 조치로 평가된다.
명칭 개편에 따라 연구원 목적도 시대 정신을 반영해 바꿨다. 종전 한국정신문화연구원은 "한국문화의 정수를 깊이 연구하여 새로운 창조의 기반으로 삼아 주체적 역사관과 건전한 가치관을 정립하고, 미래 한국의 좌표와 그 기본원리를 탐구"함으로써 "민족중흥을 위한 국민정신을 드높이고, 민족문화창달에 기여하게 함을 목적으로 한다"고 규정하고 있었다.
그러나 이번 한국학중앙연구원육성법은 한국학중앙연구원에 대해 "한국문화의 심층연구 및 교육 등을 통하여 한국학을 진흥"함으로써 "민족문화 창달에 기여하게 함을 목적으로 한다"로 개편했다.
이번 명칭 개편과 관련해 연구원은 "이는 단순한 명칭 변경이 아니라 `제2의 개원'으로써 그동안의 미흡한 부분을 보완하여 명실상부한 `한국학의 본산'으로 거듭나라는 국민적 요구가 반영된 것"이라는 공식 논평을 4일 냈다.
이를 위해 한국학중앙연구원은 `분산된' 연구 역량을 상호 연결시키는 `기능적 중심'으로서의 역할을 강화하고, 개방형 조직(open system)을 전제로 국내외 개별 기관에서는 수행하기 어려운 부분을 상호 연계ㆍ보완하는데 역점을 두기로 했다.
연구원은 한국학을 대표하는 기관으로서의 위상을 확고히 하는 한편 세계 한국학의 중심기관으로 위상을 키우기 위해 기존 관리중심 조직형태를 과업 지향적 조직으로 개편하기로 하고 원내 연구소별 경쟁시스템을 도입하기로 했다.
또 설립 목적에 부합하는 목적 사업을 설정하고, 이를 위한 중ㆍ장기 계획을 수립해 그 사업을 수행하되, 모든 사업은 고유 목적 사업에 부합하는 단위사업으로 추진할 방침이다.
이를 통해 한국학중앙연구원은 대만의 `대만중앙연구원', 중국의 `중국사회과학원', 일본의 `일본국제문화연구센터', 러시아의 `사회과학원'과 같은 위상을 정립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