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루 빨리 교육정책의 패러다임을 전환해 보통교육 단계에서 아이들이 정상적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하고, 대학교육의 경쟁체제를 획기적으로 강화해야 합니다."
전 서울시 교육감인 유인종 건국대 석좌교수는 17일 국회도서관에서 국회의원 등을 대상으로 한 특별강의에서 "수능부정 사건과 조기유학 증가 등은 보통교육 단계에서 나타난 과도한 경쟁체제의 한 산물"이라며 이같이 강조했다.
유 교수는 "어느 선진국에서도 보통교육 단계부터 경쟁을 부추겨 아이들의 정상적인 성장과 발달을 저해하는 과열 열풍은 없다"며 "혹자는 초.중.고교 학생들을 폐쇄된 운동장에 모아놓고 소싸움을 시키면서 어른들이 즐기고 있다고 비유하는 등 과열경쟁을 우려하는 목소리를 내고 있다"고 꼬집었다.
그는 특히 "국가경쟁력의 기본은 대학교육이지 보통교육이 아니다"며 "차제에 대학은 수능시험 점수가 높은 학생들만 선발하는 데 열중하기보다 보통 학생들을 뽑아 잘 가르쳐 졸업시키는 데 힘써야 한다"고 당부했다.
유 교수는 특수목적고와 관련, "설립취지에 맞도록 운영된다면 바람직하겠지만 집값 올리기 차원의 설립 시도는 교육 정상화 측면에서 매우 불행한 일"이라며 "고교교육 보편화를 제 궤도에 올려놓기 위해서는 교육과정 운영의 선택방식을 활성화하는 것이 좋다"고 말했다.
그는 또 "교육과정 운영이 기회의 평등보다 결과의 평등으로 전환돼야 한다"며 "결과의 평등을 위해서는 교육과정 다양화와 교육방법 개별화를 통해 상.중.하 교육이 차별 없이 이뤄져야 한다"고 지적했다.
유 교수는 이외에도 "고교교육의 상향, 하향 논란을 잠재우려면 고교평준화라는 용어보다 '고교보편화'라는 말로, 소수정예를 상징하는 엘리트 교육보다는 '수월성 교육'이라는 용어로 대체해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