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수능시험 부정 파문을 계기로 내년부터 중ㆍ고교 교과서의 정보통신 윤리부문이 대폭 강화된다.
또 서울과 수도권을 중심으로 이뤄지던 정보통신 윤리교육이 내년부터는 전국지방체신청 조직을 통해 전국으로 확대된다.
15일 관계당국에 따르면 정부는 수능부정사건 이후 중ㆍ고교생들을 대상으로 정보통신 윤리를 더욱 강화해야 한다는 데 의견을 모으고 이를 교과 과정에 적극 반영키로 했다.
이에 따라 내년부터 전국에 공급되는 ▲중등 교과서 8종 ▲고교 일반계 ‘정보사회와 컴퓨터’ 10종 ▲실업계 컴퓨터 8종 등 검정교과서 26종의 정보통신 관련 윤리교육 내용이 크게 보강된다.
특히 정통부는 지방체신청을 중심으로 정보통신 윤리교육 강화를 위한 ‘협의회’를 만들어 각계 의견을 수렴하는 방안과 정보윤리 교육을 위한 학부모 강사를 양성하는 방안을 추진해나가기로 했다.
이는 그간 정보윤리위원회와 정보문화진흥원을 중심으로 추진되던 정보통신윤리교육을 서울과 수도권 지역에서 벗어나 전국으로 확대하고 학교 중심의 윤리교육도 한층 강화하기 위한 것이라고 정통부는 설명했다.
정통부는 윤리교육에서 사이버 명예훼손 등 인터넷상의 범죄행위와 해킹의 불법성, 유해성을 부각시키는 한편 현재 인터넷 중심으로 짜여진 정보통신 윤리교육에 휴대전화 부문을 추가하기로 하고 교육부와 의견을 조율하고 있다고 말했다.
정통부 관계자는 "그간 정보통신 윤리교육이 인터넷에 치우쳐 있던 게 사실"이라면서 그러나 휴대전화 수능부정으로 엄청난 파문이 발생한 만큼 휴대전화 부문도 윤리교육의 한 축으로 추가키로 했다고 밝혔다.
교육부 관계자도 "수능 부정사건 이후 정보통신 윤리교육와 관련해 정통부 등 관계부처의 의견이 들어올 경우 이를 추가해 교과과정에 편입시키는 방안을 고려할 것"이라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