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세기 코페르니쿠스의 지동설 이후 17세기에 들어와서 과학적 지성이 폭발하기 시작한다. 15세기 중세의 신본주의에서 벗어나 이성(logos) 중심주의의 깃발을 세운 사람이 데카르트(Descartes)이다. 중세 토마스 아퀴나스의 진리나무에 따르면 뿌리는 자연학, 줄기는 수학과 철학, 맨 위가 신학으로서 신본주의의 대표적 위상을 들어낸다. 그러나 데카르트는 이와 반대의 진리나무를 세운다. 뿌리가 형이상학, 줄기가 자연학, 맨 위가 의학ㆍ기계학ㆍ도덕학으로 보았다. 이제까지 ‘신’은 의심의 여지없이 모든 존재의 근원이었다. 그러나 ‘신’을 자연과학처럼 이성의 확실성으로 입증할 수 없는 것이다. 이성의 냉철함을 통해 사물의 본질을 파악해야 한다는 것이 데카르트가 보내는 메시지이다. 즉, 아리스토텔레스(Aristoteles)가 주장한 바처럼 인간은 이성적 동물인 것이다.
끊임없이 의심해 보아도 더 이상 의심할 수 없을 만큼 확실한 것이 ‘진리’
데카르트는 ‘확실성’을 추구하고자 한 사람이다. 우연적인 것이 진리가 될 수 없다고 본 그는 절대적이고 불변적인 진리를 추구할 수 있는 ‘이성’의 존귀성에 대해 절대적 믿음을 갖고 있었다. 즉, 진리란 시대나 사회가 변화함에 따라 변화하는 상대적인 것이 아니라 필연적이고 영원한 절대적인 것이라는 것에 확신을 갖고 있었다.
데카르트는 이런 절대적 진리를 알 수 있는 ‘방법’을 ‘회의(의심)’으로 보았다. 의심해보고 또 의심해 보고 더 의심해보고…. 이렇게 끊임없이 의심해 보아도 더 이상 의심할 수 없을 만큼 확실한 것을 진리하고 할 수 있다고 한다. 이를 방법적 회의(methodical doubt)라고 한다. 플라톤(Platon)의 이데아(Idea)론(6월호 참조)과 같이 그는 이데아 저편에 있는 감각적인 세계, 현실의 세계는 믿을 수 없다고 본다.
[자세한 내용은 월간 새교육에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