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시·도교육감 선거를 지방선거와 함께 직선으로 치르는 방안이 추진되고 있는 가운데 오는 10월 임기가 만료되는 전남도교육감 선출 방식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17일 전남도교육청에 따르면 김장환 교육감의 임기는 오는 10월 24일까지여서 지방교육자치법에 따라 임기만료 30-10일 전에 선거를 치러야 한다.
그러나 정부혁신지방분권위원회는 전국 시.도교육감 선거를 지방선거와 동시에 직선으로 하는 개선안을 이미 확정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따라 올 상반기 안에 개선안이 국회를 통과하면 전남도교육감 선거도 내년 지방선거와 함께 치러 질 가능성이 커졌으며 그동안에는 부교육감 직무대행 체제로 운영될 것으로 보인다.
그렇지만 지방분권위원회의 개선안에 대한 국회의원 개개인의 찬반 의견이 분분한 데다 정당별 구도 등으로 볼 때 국회 통과를 장담하기도 쉽지 않은 상황이어서 현행대로 학교운영위원에 의한 간선제로 치러 질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는 형편이다.
이에 따라 전남도교육감을 꿈꾸는 자천 타천의 후보자들이 벌써부터 선거방식의 변화 추이를 살피면서 물밑에서 분주히 움직이고 있다.
특히 현재 학교별로 구성 중인 학교운영위원회는 후보자가 없어 정원을 채우기도 힘들었던 예년과 달리 높은 경쟁률을 보이고 있다.
이는 기존 방식대로 학교운영위원에 의한 간선제가 유지될 경우에 대비해 각 입지자들이 자신의 지지자를 운영위원으로 출마토록 하고 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현재 전남도교육감 후보자로 거론되는 인사는 김 교육감을 비롯, 조춘기.고진형 교육위원, 정찬종 전 무안교육장, 나승옥 전 도교육청 교육국장, 박봉주 전 완도교육장, 이정영 전 목포교육장, 이천만 여수중흥초 교장 등 다수가 있다.
게다가 두터운 지지층을 확보하고 있는 전교조 등 교원단체들도 공모 등을 통해 개혁성향이 강한 후보를 내세울 움직임을 보이고 있어 변수로 작용할 전망이다.
그러나 간선제를 전제로 출마를 준비해 오던 이들 후보군이 선거방식이 직선제로 바뀌면 출마할 지는 미지수다.
정부혁신지방분권위원회 교육자치팀 관계자는 "올 상반기 안에 정부발의 개선안의 국회 상정을 목표로 추진하고 있다"며 "예정대로 추진된다면 전남도교육감의 경우 내년 지방선거 때까지 직무대행 체제로 가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