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국제적인 노력에 우리나라 초등학생들이 동참한다.
산업자원부 기술표준원은 지난달 16일 발효된 교토의정서 대응책의 하나로 어린이를 대상으로 하는 환경관리 교육과정인 '어린이 ISO 14000 프로그램'을 도입, 올해부터 시범사업을 추진키로 했다고 7일 밝혔다.
이 프로그램은 가정과 지역사회에서 초등학생들이 중심이 돼 에너지 절약 등 환경 문제를 가족과 함께 실천하는 교육 과정으로 3단계 과정을 이수하면 산업자원부 장관과 국제표준화기구(ISO)에서 국제인증서를 수여한다.
지난해 세계에서 가장 먼저 이 프로그램을 도입한 일본의 경우 어린이들의 활동을 통해 이산화탄소(CO²) 배출량을 10-15% 가량 줄인 가운데 호주와 대만이 뒤따라 제도를 시행하고 있고 현재는 세계 10여개국이 프로그램 도입을 준비 중이다.
프로그램은 가정내 실천과정인 초급(2주), 중급(8주) 과정에서 전기, 가스, 물 절약 등 실천과제를 수행한 뒤 고급과정에서는 지역 어린이들이 그룹을 형성, 지역환경 개선을 위해 협력하는 능력을 배우게 된다.
산자부는 관련부처와의 협의를 통해 우선 올해는 여름방학중 서울시 2개 초등학교 100여명의 어린이를 대상으로 시범사업을 실시한 뒤 내년에는 6대 광역시로, 2007년에는 전국으로 프로그램 도입을 확대할 방침이다.
산자부는 시범사업의 효율적 추진을 위해 어린이들에게 환경관리방법을 지도할 전담교사 양성교육과정인 '지도교사 양성 프로그램'도 운영, 국내외에서 일정한 훈련과정과 자격시험을 거쳐 선발된 지도교사에게 국제인증서를 수여할 예정이다.
강혜정 기술표준원 생물환경표준과장은 "가족들을 상대로 에너지절약 실천을 가장 잘 유도할 수 있는 건 초등학생들"이라며 "이 프로그램을 정식 교육과정중 특별활동으로 인정하는 방안을 추진할 계획"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