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원농악의 가락, 숲속을 울려 퍼지다”

2025.11.03 15:28:48

영흥숲공원에서 열린 수원농악단 거리공연, 시민과 함께한 신명의 오후

 

가을빛이 완연한 11월 2일 오후, 수원 영흥숲공원에 북소리와 꽹과리 소리가 울려 퍼졌다. 수원농악단(단장 홍혜영, 이하 농악단)이 전통 농악의 맥을 잇고 지역 문화를 알리기 위해 펼친 거리공연이 열린 것이다. 이번 공연은 수원특례시의 소규모 문화예술행사 지원사업의 일환으로 진행되었으며, 인근 주민 50여 명이 모여 가을 햇살 아래 신명나는 한마당을 즐겼다.

 

가족과 함께 즐기는 ‘숲속 농악잔치’

공연이 열린 영흥숲공원(영통구 영통로 435)은 일요일 오후를 즐기려 나온 가족 단위 시민들로 북적였다. 아이들은 모래사장에서 뛰놀고, 어른들은 산책을 즐기며 휴일의 여유를 만끽하던 중 들려온 풍물소리에 발걸음을 멈췄다.

 

 

단원들은 공연 시작 한 시간 전부터 모여 악기를 점검하고 의상을 갖췄다. 징, 꽹과리, 장구, 북 등 각자 맡은 악기를 손질하며 고깔과 삼색 띠, 미투리를 착용하는 모습이 분주하다. 임원진은 무대 주변에 현수막과 배너를 설치하며 공연 분위기의 현장감을 더했다.

 

20인의 어우러짐, ‘수원농악’으로 하나 되다

이날 무대에는 단원 20명이 함께했다. 대부분이 중장년층이지만 초등학생 단원 두 명도 당당히 줄을 섰다. 공연은 길놀이로 문을 열어 시민들의 시선을 끌었고, 이어 삼도 사물놀이, 수원농악 순서로 약 40분간 진행됐다.

 

악기 편성은 꽹과리 3명, 징 1명, 장구 6명, 북 4명, 소고 2명, 상모 2명, 기수 1명, 태평소 1명으로 구성되었다. 농악 특유의 빠른 가락과 느린 장단이 번갈아 울리자 관객들은 박수를 치며 호응했고, 일부 어르신은 자리에서 일어나 덩실덩실 춤을 추기도 했다.

 

 

흥겨운 장단은 외국인 관객의 마음도 사로잡았다. 이날 현장에는 미국인 남성과 노르웨이 여성도 함께하며 스마트폰으로 공연 장면을 촬영하는 모습이 눈에 띄었다. 노르웨이 여성은 “남편의 나라 국악을 보고 들으니 왠지 기분이 좋았다”며 “국악은 멋있고 행복에 빠지게 한다. 힐링의 시간이었다”고 했다.

 

수원농악, 행궁의 전통을 잇는 자부심

공연이 끝난 뒤 홍혜영 단장은 “수원농악단은 화성행궁의 특수성으로 왕의 행차를 알리던 취타대와 함께하여 타 농악과는 차별성이 있다”며 “이 점이 타 단체와 다른 수원농악단만의 자부심”이라고 말했다. 홍 단장은 국악 전공 석사로, “시민들에게 신명나는 우리의 가락을 알리고, 전통 농악을 전승하기 위해 다양한 공연과 교육활동을 계속 펼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내년 3월 정기 발표회를 준비 중이며, 2년 이내 전국대회 출전을 목표로 하고 있다.

 

20년 넘게 국악기를 다뤄온 류제민 상쇠(75)는 “상쇠는 오케스트라의 지휘자처럼 전체 흐름을 이끈다”며 “오늘 공연은 숲속이라 울림이 좋아서 더욱 신명 났다”고 소감을 밝혔다.

 

우종득 사무국장은 “상쇠와 단장, 사무국장이 단원의 화합을 위해 힘쓰고 있다”며 “수원농악의 멋을 시민들과 나눌 때 보람을 느낀다”고 말했다. 조옥연 총무는 “현재 단원은 35명이며, 매주 화요일과 목요일 수원종합운동장 연습실에서 2시간씩 연습한다”며 “농악에 관심 있는 시민은 언제든 함께할 수 있다”고 전했다.

 

 

세 차례 거리공연으로 시민 속으로

농악단의 거리공연은 이번이 두 번째다. 지난 10월 25일 서호공원에서 첫 공연을 마쳤고, 오는 11월 8일 정자공원에서 세 번째 공연이 예정돼 있다. 이번 연속 공연은 수원 시민이 일상 속에서 전통 문화를 자연스럽게 만날 수 있도록 기획됐다.

 

 

또한 수원농악단은 수원문화재단의 새빛문화예술클럽 시민의 메아리 프로그램에도 선정되어 올가을 정자문화공원(9월 26일)과 올림픽공원(10월 19일)에서 공연을 펼쳤다. 홍 단장은 현재 수원 광교초, 용인 석현초, 오산 세마초 국악강사로 활동하고 있으며 ‘수원은 학교’ 사업의 1인 1악기 강사로 활동, 전통문화 교육에도 힘을 쏟고 있다.

 

전통의 울림, 시민 속으로 이어지길

가을 햇살 아래 울려 퍼진 꽹과리 소리는 영흥숲공원 나무 사이를 지나며 멀리 퍼져 나갔다. 단원들의 땀방울과 시민들의 박수가 어우러진 그 현장은, 단순한 공연을 넘어 지역 문화의 뿌리를 되새기는 시간이었다. 수원농악단의 신명나는 장단은 오늘도 시민의 삶 속에서, 그리고 수원의 역사 속에서 계속 이어지고 있다.

 

이영관 교육칼럼니스트 yyg99@hanmail.net
ⓒ 한국교육신문 www.hangyo.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구독 문의 : 02) 570-5341~2 광고 문의 : wks123@tobeunicorn.kr, TEL: 1644-1013, FAX : 042-824-9140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 | 등록번호 : 서울 아04243 | 등록일(발행일) : 2016. 11. 29 | 발행인 : 강주호 | 편집인 : 김동석 | 주소 : 서울 서초구 태봉로 114 | 창간일 : 1961년 5월 15일 | 전화번호 : 02-570-5500 | 사업자등록번호 : 229-82-00096 | 통신판매번호 : 2006-08876 한국교육신문의 모든 콘텐츠는 저작권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