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세대 차이 구별은 매우 단순하게 할 수 있다. 전화번호부를 모르면 젊은 세대이고, 알면 늙은 세대란다. 과거 80년대만해도 전화번호부를 외워야 칭찬을 많이 받는 직장인이 있었다. 이런 직업도 이젠 거의 사라지고 없다. 70년대 초 필자가 대학 시절 느낀 것은 광주 전일도서관에 가면 의과대학 학생들을 많이 자주 만난 기억이 되살아 난다. 의과대학생은 수많은 의학 용어를 외우다 보면 스스로를 외우는 기계로 생각한단다. 마치 오늘날 우리가 없으면 못살 것 같은 컴퓨터가 지속적으로 저장하고 지우기를 반복하는 것처럼 머리에서 외우고 잊기를 되풀이 하는 것이다. 그래서 의과대학에 들어가려는 학생은 외우기를 즐기고 이것을 잘 견딜 수 있어야 한다.
의과대학 과목중에서도 해부학은 외우는 비중이 가장 크다고 한다. 1000개가 훨씬 넘는 해부학 용어를 외워야 하기 때문이다. 그 이유는 무엇보다 의사가 되면 영어로 쓴 책과 논문을 읽어야 하기 때문이기도 하다. 그런가 하면 환자와는 우리말로 하지만 동료 의사와 말하거나 의무 기록은 영어를 쓰기 때문이다. 의과대학생한테는 발음이 중요한 것이 아니라 철자가 중요하다. 발음이 틀리면 조금 창피하게 느낄 수 있지만 철자가 틀리면 시험 성적이 나빠 낙제를 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우리 영어교육에서도 이는 많은 시사점을 던져준다. 실제로 학생들의 영어 공부하는 방식을 살펴 보면 말하는 것 보다는 쓰는 것에 치중하는 것도 바로 시험 점수때문이다. 그러나 교육정책 담당자나 교사들은 실제로 우리에게 필요한 것은 시험이 아닌 의사소통 능력이라 강조한다. 하지만 시험에선 역시 철자가 중요하다는 것을 아이들은 알고 있다. 이런 모순을 반복하는한 별스럽게 영어교육 개선을 외쳐도 영어실력 향상은 요원한 일이 아닐런지?
요즘 아이들은 우리는 눈을 뜨는 순간부터 침대에 눕는 순간까지 스마트폰을 손에 쥔 채, 그 마법에서 빠져나오지 못하고 있다. 아니 마법이라기보다는 새로운 신체 일부가 된 사이보그처럼 되어가고 있다. 사고 등으로 팔이나 다리를 잃은 자리에 로봇 팔이나 다리를 연결한 것처럼 스마트폰은 이미 대한민국 아이들에게 몸의 일부가 되고 있다. 나아가 음성 명령만으로 검색·전화·촬영을 할 수 있는 구글 글래스나 손목에 차거나 입는 웨어러블 컴퓨터의 등장은 상징적인 사이보그 인간의 우려를 가속시킨다.
스마트폰이 수첩과 백과사전을 대신하고, 인터넷이 암기와 사고 등 뇌의 기능을 대신해 주면서 뇌를 사용할 필요성을 느끼지 못하게 한다. 이로 인하여 뇌는 점점 더 무뎌지고, 스마트폰에 중독된 우리는 사색이나 깊은 상념에 젖기도 힘들다. “인터넷에 기억 장치를 아웃소싱하게 되면서 뇌가 기능을 잃고 있다”는 니컬러스 카의 지적은 우리의 현실을 뼈저리게 통감하게 한다.
의과대학에 재학중인 제자가 하는 말이 해부학 책을 아무리 읽어도 용어가 안외워져 힘들었단다. 그런데 신기하게도 해부학 실습실에서 그 구조를 만지면 잘 외워진다는 것이다. 이는 마치 어린 아이가 얼굴을 만지면서 낱말을 외우는 원리와 마찬가지이다. 코코코, 눈눈눈 하는 놀이를 떠올리면 이해가 된다. 게다가 친구들과 그 용어로 이야기를 하면 더 잘 외워진다는 것이다. 아이가 엄마와 이야기하면서 외우는 것과 같다. 따라서 해부학 용어도 머리로 외우지 않고 손과 입으로 외운다고 한다. 이런 과정에서 어려운 단어를 외운 이야기를 만들면 그것을 매뉴얼화하여 친구 학생에게 알려주는 좋은 친구도 생겨난다는 것이다. 어떤 해부학 선생님은 그것을 만화로 그려서 학생들에게 공짜로 퍼뜨리니 훌륭한 선생이 이렇게 태어나는 것이다.
해부학이 외우는 과목이듯 영어도 마찬가지이다. 활용이 되려면 완전히 외우지 않고는 불가능하다. 그런데 해부학에서 외우는 것이 이해가 뒤따라야 하듯 구구단도 외워야 한다. 둘다 일찍 배워야 되고 외워야 하고, 또한 원리를 이해하여 제대로 응용하지 않으면 아무래도 시간 낭비요 아무짝에도 쓸모가 없다. 처음부터 무작정 전화번호부를 무턱대고 외우는 것은 좋은 공부가 아니듯 영어도 무턱대고 외우라면 괴로운 과제가 될 것이다.
의과대학생이 사람 몸을 이해하면서 외우는 것이 좋은 공부가 되듯이 영어도 무작정 외우라니 이는 불가능한 일이요, 무거운 과제가 아닐 수 없다. 영어실력 향상을 위해 아이의 꿈을 키우고, 보다 더 쉽게 이해하도록 만화로 전달하고, 아이들이 단어를 제작하도록 하고, 선조들이 서당에서 한문을 외우듯 소리내서 외우고, 대화하면서 공부한다면 우리가 해결하고자 하는 영어 실력은 분명히 향상될 것이라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