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은 크나큰 시련도 극복할 수 있다. 엄청난 힘을 발휘할 수도 있고, 강한 적을 무찌르기 위한 비책을 강구할 능력도 갖고 있다. 그렇지만 모든 일을 하나씩 차례대로 해나가야 한다. 어디서부터 일을 시작해야 할지 모르면 쉽게 용기를 잃는다. 가장 큰 스트레스는 과중한 부담이다. 그것은 우리의 모든 행동에 장애가 된다. 특히 요즘 학생들의 행동 가운데 손 꼽을 수 있는 것이 정리 정돈을 잘 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어지럽게 흩어진 교실과 좁은 책상위에 높게 쌓여진 책은 무엇을 의미하는가?
이와같은 혼돈된 상태라면 어디서부터 손을 대야 할지 모르게 되며, 필요한 물건을 찾느라고 시간만 낭비하고, 머릿속에는 모든 것이 뒤죽박죽 뒤엉켜 혼란만 겪게 될 것이다. 그도 그럴것이 가정에서부터 기본적으로 청소하는 것도, 정리 정돈하는 것도 제대로 가르치지 않으니 학교에 와서 이 일을 잘 수행할리가 만무하다. 주변을 혼란스럽게 해놓는 것과 학업에 임하는 태도는 매우 상관 관계가 높다는 연구보고도 있다.
인간은 두 얼굴을 가지고 있다. 지저분한 곳에는 더 쓰레기를 버리게 되고, 깨끗한 곳에는 함부로 쓰레기를 버리지 못하는 것이 인간의 양심이다. 주변이 지저분하면 결정을 뒤로 미루는 병이 생기듯이 어수선함은 사람의 에너지에 영향을 미치면서 집중력을 떨어뜨린다. 그래도 공부를 하겠다고 그 속에서 안간힘을 쓰는 아이들에게 우선적으로 무엇이 필요한?

정리에 투자된 시간은 분명히 집중력을 높이고 기분을 상쾌하게 만들어 학습에 긍정적 영향을 줄 것이다. 책상 위 있는 것은 우리의 뇌 속에 있다는 사실을 잊지 말았으면 좋겠다는 사실을 기억하자. 깨끗이 치운 책상은 가지런히 정돈된 정신을 의미한다는 사실을 새겨 볼만하지 않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