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3.29 (금)

  • 흐림동두천 1.0℃
  • 흐림강릉 1.3℃
  • 서울 3.2℃
  • 대전 3.3℃
  • 대구 6.8℃
  • 울산 6.6℃
  • 광주 8.3℃
  • 부산 7.7℃
  • 흐림고창 6.7℃
  • 흐림제주 10.7℃
  • 흐림강화 2.2℃
  • 흐림보은 3.2℃
  • 흐림금산 4.4℃
  • 흐림강진군 8.7℃
  • 흐림경주시 6.7℃
  • 흐림거제 8.0℃
기상청 제공
상세검색

학술·연구

남북 교육통합의 핵심은 교사

통일대비 교육기반 토론회

교육제도·학교문화 다른 북한
연구, 교사 연수 제대로 해야
탈북가정 학생 수업, 지원 효과

[한국교육신문 조성철 기자] 탈북가정 청소년들은 학교생활 중 수업 따라가기를 가장 어려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절반은 자신의 출신을 밝히지 않을 만큼 거리감도 큰 것으로 조사됐다. 이와 관련해 북한의 교육과 학교문화를 지속적으로 연구하고 현장교육의 주체인 교사 연수를 지속적으로 해야 한다는 제안이 나왔다.
 
한국교육개발원과 더불어민주당 박경숙 의원은 12일 국회의원회관에서 ‘통일대비 교육기반 구축을 위한 과제와 전망’ 토론회를 개최했다. 이 자리에서 발제에 나선 전연숙 남북하나재단 생활안정부장은 ‘2016 탈북청소년 실태조사’(탈북청소년 857명, 탈북가정의 제3국 출생 청소년 1141명 대상) 결과를 발표하며 개선과제를 제시했다. 
 
이에 따르면 이들 탈북·제3국 출생 청소년은 학교생활 중 가장 어려운 문제에 대해 ‘수업’(탈북청소년 48.5%, 제3국 청소년 47.2%)을 꼽았다. 장기간의 탈북·입국과정에 기인한 학업공백, 경제적 이유, 남북 교육의 차이 등이 원인인 것으로 분석된다. 그 다음으로 탈북청소년은 ‘친구관계’를, 제3국 청소년은 ‘언어적응’이 어렵다고 밝혔다. 
 
이와 관련해 향후 가장 필요한 지원에 대해서는 ‘학습 및 학업지원’과 ‘교육비 등 경제적 지원’, ‘진로상담 지원’을 1~3순위로 요구했다. 
 
탈북청소년의 9.5%, 제3국 청소년의 16.0%는 친구가 없다고 응답했다. 또 탈북청소년의 61.2%, 제3국 청소년의 43.2%는 자신의 출신을 밝히지 않는다고 답해 교실 내 거리감과 고립의 문제도 겪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들 청소년들은 절반 가까이(탈북청소년의 49.4%, 제3국 청소년의 45.2%)가 한부모와 살고 있었다.  
 
전연숙 부장은 “프로그램 중심의 1회성 교육지원이 아닌 부모, 가족 등을 포함한 환경 전반을 아우르는 종합적 지원체계가 추진돼야 한다”고 강조한 뒤 “특히 제3국 청소년은 현행법상 북한이탈주민에 해당하지 않아 지원이 불가한 상황”이라며 “북한출생, 제3국 출생, 한국출생 자녀들을 지원하도록 법률적 근거를 마련할 필요가 있다”고 제안했다. 
 
김지수 한국교육개발원 탈북청소년교육지원센터 소장은 발제를 통해 “탈북청소년 등을 제대로 이해하고 교육하려면 북한교육과 학교문화에 대한 연구, 교사 연수를 지속해야 한다”고 밝혔다. 
 
김 소장은 “북한은 2012년 김정은 집권 이후 교육 관련 법령 제·개정, 학제 개편, 교육과정 개정 등을 진행했고, 학교문화도 집단주의에 기반을 둬 우리와 차이가 크다”며 “이에 대한 지속적 연구가 선행돼야 부적응 탈북청소년을 제대로 이해, 지원할 수 있음은 물론 통일사회 교육통합에도 대응할 수 있다”고 말했다. 
 
실제로 탈북청소년 등은 북한 학교에서 배우지 않았던 사회과 같은 과목을 처음 접하고, 역사과는 교과내용 차이가 크며, 수학·과학은 내용은 비슷해도 학년별 교과 진도에 차이가 있어 학습에 어려움을 겪는다. 또 수업방법, 교육평가 측면에서도 북한은 객관식 선다형 문항으로 시험을 치는 경우가 거의 없고, 토론식 수업도 없어 적응이 힘들다는 설명이다.   
 
김 소장은 “탈북학생을 교육하는 교사들이나 통일시대에 북한 출신 학생들을 교육하는 교사들은 북한의 사회와 교육에 대한 기본 지식, 정보를 알아야 그 학생들을 더 잘 이해하고 교육할 수 있을 것”이라며 “통일대비 교육기반 구축의 핵심사업은 교사 연수이며, 통일 이후 남북 교육통합의 핵심은 교사”라고 강조했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