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감선생님은 언제 쉬세요?”

2020.03.25 10:59:01

요즘 학교는 역사상 한 번도 가보지 않은 길을 가고 있다. 사상 초유의 3월 개학이 연기되면서 이래저래 학교의 문이 열리기를 기다리고 있다. 매년 3월이 되면 학교는 어떤 모습이었던가? 겨울방학에 이어 곧바로 봄 방학으로 들어간 학교는 꽤나 긴 동면(冬眠)이 끝나면서 교사동(校舍棟)과 운동장에는 학생들로 왁자지껄 활력이 넘치고 겨울 황소바람에 황량했던 학교 구석구석은 십대의 주인공으로 채워지면서 자연의 대지 못지않게 생명감으로 넘치는 시기가 아니던가? 그런데 올해는 코로나바이러스로 인해 개학이 1,2,3차로 연기되면서 학교는 그야말로 비상시국을 맞이하고 있다.

 

여기서 잠시 학교의 변화한 최근의 모습을 떠올려 보자. 여름, 겨울방학이 어떻게 바뀌었는가? 방학은 교사들의 순환 근무 없이 ‘제41조 연수’로 바뀌었다. 학교는 실질적으로 관리자인 교감과 교장, 교무실 실무원, 도서관 사서, 그리고 행정실 직원들만의 차지가 되었다. 그렇다고 일반인이 오해하는 것처럼 교원들은 집에서 놀고먹는다는 말인가? 아니다. 방학 기간에도 상급 교육기관이나 각종 교육관련 기관으로부터 학교에 보내오는 공문은 크게 줄지 않는다. 여전히 학생들을 위한 다양한 교육활동이 어딘가에서 계속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공문은 분류되어 각 업무 담당자에게 전달이 되고 담당자는 원격근무로 인한 재택근무로 대응해 나간다. 대개는 학교 출근이 불가피하다. 겉모습과는 달리 업무는 중단 없이 실행되고 있다. 특히나 교감은 학교장 대리 결재자로 근무를 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어쩌면 가장 방학이 없는 대표적인 교원일 것이다. 물론 학교에 따라선 교감과 교장이 서로 연가를 바꾸어 쓰면서 학교 실정에 맞게 순환근무를 하지만 대개는 짧은 기간에 불과하다.

 

이처럼 요즘에는 교감이 주로 학교 근무를 담당한다 해도 과언이 아니다. 그래서 “교감선생님은 언제 쉬세요?”라고 걱정 어린 인사를 받기도 한다. 그렇다고 담임교사를 비롯한 일반 교원들이 근무를 하지 않고 놀면서 지낸다는 생각으로 시기하거나 질투하는 마음은 추호도 없다. 왜냐면 앞의 언급처럼 방학이어도 업무는 공간을 달리하여 계속되고 담임교사는 학생들과 소통을 하면서 가정에서의 생활지도나 학습지도에 어떤 형태로든 관여하기 마련이다. 흔히들 학기 중에 교사가 미쳐갈 정도가 되면 방학이 시작된다는 말이 있다. 그만큼 방학은 교사에게 충전의 기회이고 꼭 필요한 시간이다.

 

방학 중에도 그들은 결코 ‘일 안 하고 월급을 받는 그룹’이 아니다. 학생들의 동태를 늘 원격으로 관찰하면서 가정에서의 생활에 소위 안테나를 꽂고 주시하는 것이다. 실례로 학급별 카톡 방은 연일, 매시간 기계음으로 쉴 틈이 없다. 그뿐이랴. 교원들은 방학 중 실시하는 각종 전문연수나 교양연수에 참여하면서 다음 학기를 대비한 자질함양에 땀과 노고를 아끼지 않는다. 그렇기에 몸은 학교를 비웠어도 마음과 정신은 여전히 근무를 하는 것이다. 하여 학교를 붙박이로 지키는 교감이라고 근무 공간을 달리하는 교원들에게 일 안하고 월급 받는다고 결코 막말을 하지 않는다.

 

오늘 서울시 교육감의 ‘일 안 해도 월급 받는 그룹’으로 교원을 비하하고 편 가르기를 한 막말은 교원들의 등에 비수를 꽂았다. 이는 현재 코로나 극복을 위해 온 힘을 기울이고 있는 학교 현장과 교원들을 무시하고 왜곡된 평소 인식을 드러낸 것이다. 참으로 실망스럽다. 동료의 등에 비수를 꽂은 행위는 석고대죄해도 부족하다. 한 사람 교육감의 잘못된 언행으로 교원들이 국민 앞에 놀고먹는 집단, 공공의 적이 돼 버렸다는 점에서 허탈감과 개탄을 금치 못하겠다.

 

필자는 오늘도 교원들과 유선과 인터넷을 통해 학생 건강 상태와 학습 상황을 체크·피드백하고 학사일정과 교육과정을 조정하는 등 수시로 내려오는 공문 처리와 방역물품 확보와 개학 후의 만일의 사태에 대비하는 등 숨 가쁘게 지났다. 하지만 오늘은 참으로 힘이 빠지고 분노로 어찌할 바를 모르겠다. 큰 상처는 가까운 사람에게서 받는 법이라 했던가? 참으로 슬프고 외로운 하루였다.

전재학 인천 제물포고등학교 교감 hak0316@hanmail.net
ⓒ 한국교육신문 www.hangyo.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구독 문의 : 02) 570-5341~2 / 광고 문의: 042-824-9139(FAX : 042-824-9140 / E-mail: sigmund@tobeunicorn.kr) 한국교원단체총연합회 | 등록번호 : 서울 아04243 | 등록일(발행일) : 2016. 11. 29 | 발행인 : 여난실 | 편집인 : 여난실 | 주소 : 서울 서초구 태봉로 114 | 창간일 : 1961년 5월 15일 | 전화번호 : 02-570-5500 | 사업자등록번호 : 229-82-00096 | 통신판매번호 : 2006-08876 한국교육신문의 모든 콘텐츠는 저작권 보호를 받는 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