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4.25 (목)

  • 흐림동두천 1.0℃
  • 흐림강릉 1.3℃
  • 서울 3.2℃
  • 대전 3.3℃
  • 대구 6.8℃
  • 울산 6.6℃
  • 광주 8.3℃
  • 부산 7.7℃
  • 흐림고창 6.7℃
  • 흐림제주 10.7℃
  • 흐림강화 2.2℃
  • 흐림보은 3.2℃
  • 흐림금산 4.4℃
  • 흐림강진군 8.7℃
  • 흐림경주시 6.7℃
  • 흐림거제 8.0℃
기상청 제공
상세검색

제언·칼럼

상, 제대로 주자

1년 전쯤 필자는 칼럼 ‘상, 제대로 주고 있나’를 발표한 바 있다. 각종 상이 넘쳐나는 것이 과연 바람직한 일인가를 지적한 글이었다. “상이라는 것은 받을만한 사람에게 주어졌을 때 의미와 가치가 있는 것이지, 그렇지 않을 경우 쓰레기 배급에 지나지 않는다”는 드라마작가 김수현의 ‘명언’을 예시하기도 했다.

  대학교⋅문인단체⋅지자체 주최 등 상이 넘쳐나는 건 학생 대상도 예외가 아니다. 바꿔 말하면 각종 공모전이나 백일장 등이 그야말로 즐비하다는 얘기다. 차제에 특히 학생 대상의 백일장이 시상하고 있는 상의 명칭(훈격)에 대해 살펴보려는 이유이다.

  일단 소정의 상금을 내건 공모전⋅백일장이 많은 것은, 응당 환영할 일이다. 사교육 완화 대책이랍시고 고교 생활기록부에 교외수상 사실조차 기재되지 않는 기이한 세상이 되어버렸지만, 학생들의 글쓰기를 유인할 수 있는 계기로 작용할 수 있어서다.

  말할 나위 없이 글쓰기는 자신의 느낌이나 의견을 정확하게 표현⋅전달하는 수단이다. 글쓰기는 시인이나 소설가가 되려는 사람만이 배우고 지녀야 할 특기가 아니다. 또 소질이나 재주 따위로 치부해버리며 부담없이 넘어갈 문제도 아니다. 학생들이 기본적으로 익혀야 할 필수과목인 것이다.

  그런데도 학생들은 글쓰기라면 차라리 죽을 맛이라는 반응들이다. 초⋅중⋅고 12년을 멀쩡히 수학하고 졸업까지 했는데, 논리적인 글은커녕 편지 한 장 제대로 쓰지 못한다. 매우 안타까운 일이지만, 그것이 부인할 수 없는 이 땅의 현실이다. 상금을 내건 백일장 등이 많은 게 좋다고 한 이유가 거기에 있다.

  그런 가운데 제1회고은백일장이 개최되었다. 지난 해 10월 개최된 제1회고은백일장은 초⋅중⋅고⋅대학 일반부로 나뉘어 진행되었다. 전체 대상을 비롯 각 부문 장원⋅차상⋅참방의 상이 주어졌다. 대상이 전체 1등상이고, 장원⋅차상⋅참방은 각 부문 1, 2, 3등상이 된다.

  그런데 뭔가 개운치 않다. 무릇 백일장에서 수여하는 ‘장원⋅차상⋅차하⋅참방’의 일반적 시상 훈격이 파괴되어 있어서다. 비단 고은백일장만 그런 것이 아니다. 전북문인협회의 제10회 새만금전북고교생백일장, 전북대학교 주최 제16회 전국고교생백일장 등도 마찬가지다.

  구체적으로 살펴보자. 제10회 새만금전북고교생백일장은 ‘대상⋅최우수⋅우수⋅가작’이다. 전북대학교 주최 제16회 전국고교생백일장은 ‘대상⋅우수상⋅가작⋅장려상’으로 되어 있다. 차례대로 1~4등인 건 알겠지만, 제대로 된 시상 내역이 아님을 알 수 있다.

  필자가 파악하기로 제대로 된 시상 내역은 광주대학교 주최 제17회 전국고교생백일장의 ‘장원⋅차상⋅차하⋅장려상’ 정도이다. ‘참방’이 ‘장려상’이란 뜻이긴 하지만, 기왕이면 백일장 본래의 의미를 살려 ‘장려상’ 대신 ‘참방’으로 공지하면 더 좋겠지 싶다. 목정문화재단 주최 제19회 전북고교생백일장의 ‘장원⋅차상⋅차하⋅가작’의 ‘가작’도 그렇다. 

  어떤 명칭으로 상을 주든 주최측 마음이라고 하면 할 말이 없지만, 그건 아니지 싶다. 무엇보다도 상 받는 학생들이 헷갈려 하는 걸 자주 봐와서다. 조선시대 과거 시험으로부터 유래된 백일장의 의미를 상 명칭과 함께 살려제대로 주는 것 또한 전통문화 전승과 창달 등 이 문화융성시대에 한 수확이 아닐까?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