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3.29 (금)

  • 흐림동두천 1.0℃
  • 흐림강릉 1.3℃
  • 서울 3.2℃
  • 대전 3.3℃
  • 대구 6.8℃
  • 울산 6.6℃
  • 광주 8.3℃
  • 부산 7.7℃
  • 흐림고창 6.7℃
  • 흐림제주 10.7℃
  • 흐림강화 2.2℃
  • 흐림보은 3.2℃
  • 흐림금산 4.4℃
  • 흐림강진군 8.7℃
  • 흐림경주시 6.7℃
  • 흐림거제 8.0℃
기상청 제공
상세검색

교단일기

지나친 자녀 사랑은 위험하다

 자녀교육에 왕도는 없는 것일까? 부모의 자녀 사랑은 당연한 것이다. 우리는 그동안 자녀를 사랑한다는 이유로 많은 관심과 애정을 쏟아왔다. 특히 한 자녀가 많아진 시대에서 대부분의 부모들은 자녀교육에 전심전력을 하고 있다. 하지만 그 애정이 자녀를 자립심, 자존감 없는 아이로 자라게 하고 있지는 않을까 염려가 된다. 정신과 의사들은 아이와 친구처럼 놀아주고, 아이의 뜻을 모두 받아주면서 일일이 살피는 지금까지의 양육 방식에 제동을 걸고 있다. 부모가 많은 사랑을 쏟아 부을수록 아이는 난관에 부닥쳤을 때 헤쳐나갈 수 있는 ‘자기 조절력’을 잃게 된다는 것이다.

미국의 유명한 정신과 의사인 엘렌 웨버 리비도 애정 과잉이 심하면 타인과의 관계에서 어려움을 느끼고 책임감을 갖지 못하는 어른으로 자랄 수 있다고 경고한다. 미국의 교육 전문가 킴 존 페인은 “헬리콥터 맘이 아닌 베이스캠프형 부모가 돼야 한다.”고 제안하고 있다. 안정감을 주면서 자녀를 독립시켰을 때, 아이는 자유롭게 세상을 탐험하며 자란다는 것이다. 자녀를 독립된 인격체로 바라보기 위해 독일의 한 저널리스트 부부는 한 달간의 역할 바꾸기 실험을 벌이기도 했다.

국내에도 자녀 독립의 필요성을 일찌감치 알고 생활 방식, 경제 교육, 학습부문에서 한 발짝 물러난 교육을 실천하고 있는 가족들도 있다. 자신만의 방법으로 이른바 ‘자녀 독립 프로젝트’가 필요한 시점이다. 유대인들은 아주 오래전부터 부모가 자녀의 독립을 준비해 왔다. 자녀에게 많은 선택권을 주면서 스스로 행동에 책임을 지도록 하고, 때로는 자녀 혼자 여행을 떠나도록 권했다. 세계의 교육 전문가들은 물질적, 정신적으로 풍요로운 지금이야말로 자녀의 올바른 인격 형성과 행복한 삶을 위해‘자녀 독립’이 필요하다고 입을 모은다.

보통 우리는 부모의 사랑은 부족해서 문제이지, 많으면 긍정적인 영향을 받는다고 알고 있다. 하지만 미국의 심리학자이자 정신과 의사인 엘런 웨버 리비는 30여 년간 환자들을 상담하고 연구하는 과정에서 한 가지 독특한 정신적 패턴을 발견했다. 이른바 ‘페이버릿 차일드 콤플렉스’(FavoriteChildComplex)로 부모의 지나친 관심과 사랑을 받고 자란 아이는 장점과 함께 감정적 장애를 불러올 수도 있다는 것이다. 특히 어릴 때부터 부모의 사랑을 풍족하게 받고 잘 자란, 사회적으로 성공한 리더들 사이에서 많은 사례가 나왔다는 것이다.

이는 ‘페이버릿 차일드’라는 책으로 출간돼 화제가 됐다. 리비의 말에 따르면, 총애는 가족 중 가장 큰 영향력을 발휘하는 어른이 아이에게 우월적인 지위를 부여하는 것이다. 부모의 마음속 깊이 뿌리내린 솔직한 감정의 표현이지만, 자녀에게 아무런 대가를 바라지 않고 사랑을 쏟는 부모가 있는 반면 자녀로부터 바람직한 행동을 이끌어내려는 의식적·무의식적인 조작으로 사랑을 주는 경우도 있다고 말한다.

이때 아이는 보통 자신에게 주어진 특혜를 즐기게 된다. 하지만 스스로 아무런 노력을 하지 않았는데 부모로부터 많은 보상을 받으면 아이는 혼란스럽게 된다. 총애를 받는 아이는 자신의 힘과 가치에 대한 확신과 자신감을 갖지만 반대로 자신이 원하는 것은 뭐든지 할 권리가 있다고 생각하고, 자기 행동에 책임을 지지 않는 경우가 적지 않다. 또 자율성이 억제되고, 타인과 친밀한 관계를 맺는 데 어려움을 겪기도 한다. 특히 자녀 중 한 사람에게만 총애가 집중되거나, 부모 중 한 사람이 양육에 지배적인 영향력을 갖거나, 가족 간의 의사소통이 억제되었을 때 이런 부작용들이 드러난다.

지나친 총애가 주는 가장 큰 해악은 아이들이 ‘자기 자신’에게 소외감을 느낀다는 것이다. 자기 인성의 중요한 측면에서 스스로 분리돼 있다는 사실을 깨닫지 못한다. 또 자신이 누구인지 탐구하려는 시도를 억누르며 살아갈 위험이 크다. 이런 과도한 총애로 인해 상처를 받은 아이들은 어른이 되면 반사회적 인격 장애인 ‘소시오패스’처럼 자기 자신에게만 몰두하고 자신의 이익을 위해 규율이나 인간관계를 마음대로 이용해도 된다고 생각할 위험도 있다는 것을 기억하면 총애 자체가 문제라기보다는 아이가 이를 어떻게 인지하고 있는가에 대한 관찰이 필요할 것 같다.
배너

배너

배너





배너
배너